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영화 '팔도강산(Paldogangsan)' 연작: 개발독재(開發獨裁) 시대의 프로파간다(propaganda) 영화

  팔도강산(Paldogangsan, 1967) 속 팔도강산(The Land of Korea, 1968) 내일의 팔도강산(Tomorrow's Scenery of Korea, 1971) 1.   유선방송의 'KTV 국민방송'은 국정홍보 채널입니다. 그 채널의 대부분을 채우는 프로그램은 '우리 정부는 아주 잘 해내고 있다'를 선전하고 있죠. 그렇다고 정권 홍보물만 만들어 방영하는 건 아닙니다. 흘러간 옛날 드라마나 한국 영화도 틀어줍니다. 얼마 전에 KTV에서 한국 영화 '팔도강산' 시리즈 를 방영하더군요. 영화 '팔도강산' 연작은 박정희 정권의 국정 홍보 영화로 시작되었는데, 의외로 흥행에 성공하면서 시리즈물로 나오게 되었죠. 이후에 '팔도'라는 제목이 들어간 한국 영화 제작 붐을 일으킬 정도였으니까요. 자, 그렇다면 그 원조 격인 영화 '팔도강산' 초창기 3부작에 어떤 재미가 있었는지 한번 살펴볼까요?   '팔도강산' 3부작의 주인공은 김희갑, 황정순 부부와 그 자녀들입니다 . 노부부의 자식들은 모두 결혼해서 전국 각지에 흩어져 살고 있어요. 부부는 자식들이 사는 모습을 살피려 여행을 떠납니다. 1편에 해당하는 1967년의 '팔도강산'은 부부의 국내 유람 편을 담고 있구요. 부부의 자식들은 각자 다양한 일에 종사하는데, 공통점이 있습니다. 그들이 사는 모습은 모두 한국의 산업화와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어요. 말하자면 그들은 경제발전에 일조하는 충실한 산업 역군인 셈입니다. 그 모습은 당시 박정희 정권이 추진하던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도 맞물려 있죠. 이 영화의 제작사가 '국립영화제작소'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팔도강산(1967)'은 나름 유쾌한 프로파간다 영화입니다 . 그것이 그 이듬해에 제작된 '속 팔도강산(The Land of Korea, 1968)' 에 이르러
최근 글

성혜의 나라(The Land of Seonghye, 2020): MZ세대의 좌절감과 불편한 진실

  *이 글에는 '성혜의 나라(2020)'의 결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9살, 아직 변변한 직장을 구하지 못한 성혜의 삶은 무척 고달픕니다. 신문 배달과 편의점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생계를 유지하고 있죠. 성혜의 아버지는 병원에 입원 중이고, 어머니는 식당에서 일합니다. 얼마 안 되는 수입에서 부모님께 용돈도 보내드리는 착한 딸이 성혜입니다. 성혜에게는 오래 사귄 남자 친구 승환도 있습니다. 승환은 공무원 시험을 준비 중이죠. 남자 친구가 좀 의지할만한 사람이면 좋겠는데, 승환이 가난한 부모 탓이나 하는 말을 들으면 좀 철딱서니가 없어요. 자, 어떤가요? 이 두 연인의 앞날이 그려지나요? 정형석 감독의 '성혜의 나라(The Land of Seonghye, 2020)'는 소위 가진 것 없는 흙수저 MZ세대의 우울한 초상을 보여줍니다.   흑백 화면으로 펼쳐지는 성혜의 일상은 숨돌릴 틈도 없이 팍팍합니다. 신문 배달을 하러 나가서는, 원치 않는 신문을 넣었다고 주민의 항의를 받습니다. 신문 보급소에서 준 스쿠터는 고장 나기 일쑤죠. 편의점에서는 어떤가요? 매번 라면 먹고 그릇을 치우지도 않고 나가는 고등학생들에게 싫은 소리를 하지 못합니다. 그런 성혜의 끼니는 삼각김밥입니다. 편의점에서 폐기해야 하는 유통기한이 지난 음식이죠. 성혜는 남자친구와 모텔에 가서도, 무료로 제공되는 세면도구를 알뜰하게 챙겨서 남자친구에게 줍니다. 그런 성혜에게 유일한 위로가 있다면 가끔 지나치는 애견 가게의 진열장에서 귀여운 강아지를 보는 것입니다. 성혜는 휴대전화로 강아지가 노는 것을 찍습니다.   성혜의 삶이 이렇게 고달파진 건 과거의 그 사건에서부터였습니다. 성혜는 틈틈이 입사 원서를 넣으며 취직하려고 애를 쓰죠. 그런데 전의 직장에서 인턴을 하다 그만 둔 이력이 발목을 붙잡습니다. 면접관은 성혜에게 그 이유가 무엇이냐고 묻죠. 성혜는 인턴 때 회식 자리에서 상사에게 성추행을 당했고, 그 일을 고발했으나 증거불충분으로 가해

자작시: 자개장

  자개장 며칠 전부터 그 자개장은 쏟아지는 햇빛을 하릴없이 맞고 있었다 언제 적 자개장 이냐 엄마가 시집올 때 해왔던 자개장을 버린 게 언제더라 그 자개장하고 비슷하게 생긴 자개장 이제 그렇게 품이 많이 드는 자개장을 만드는 사람도 없다는데 아니, 자개장을 찾는 사람들이 먼 시간 속으로 가버려서 그런 것인지도 모른다 은색과 연보라색 회색이 섞인 자개 무늬 공작이 애처롭게 눈웃음을 짓지만 나는 공작새에게 아무것도 해줄 수가 없어서 그저 가만히 새의 깃털을 어루만져 주고 뒤돌아섰다

자작시: 비의 향수(香水)

  비의 향수(香水) 인도의 어느 지방에서는 비가 온 뒤의 흙으로 향수(香水)를 추출한다 비가 온 뒤에 걸쭉해진 땅의 진흙을 수백 개의 항아리에 담아서 끓이고 끓이고 또 끓이고 흙을 버리고 증류수만 남긴다 그 증류수가 비 온 뒤 흙의 향수가 된다 그 향수는 너무 비싸서 보통 사람들이 살 수 없다 전 세계의 갑부들이나 쓰는 향수라고 그걸 만드는 사람이 아주 자랑스럽게 말했다 아주 오랫동안 비의 향수가 어떤 것인지 늘 마음으로만 상상했다 5월의 누런 비는 눅진거리며 하수구를 졸졸 내려간다 송홧가루는 안녕히 너의 후세(後世)는 없을지도 모르지 그래도 땅에 스며든 비의 향수로 누군가의 뇌수를 타고 흐르며 쓰라린 노래를 만들어 낼 지도 **비의 향수(Mitti Attar)는 인도의 Uttar Pradesh주에서 극소량이 생산된다.   

자작시: 먼지의 기원

  먼지의 기원 진공청소기의 먼지통을 들여다볼 때마다 경이롭다 매일 청소를 하는 데도 어디서 그 먼지들이 나오는지 나는 결코 알 수 없다 흰 머리카락과 회색의 솜뭉치들이 몽글몽글 며칠 전에 깎은 손톱도 하나 모래알이 자잘자잘 오리털 이불에서 나온 깃털도 있군 그 모든 것은 아주 먼 우주의 처음에서부터 혈관을 타고 흐르는 핏속의 철이 그렇게 내게 왔듯이 언젠가 그곳으로 돌아갈 부드러운 살과 눈물과 노래를 생각한다 한 처음에 있었던 어떤 손짓에 대해서도    

자작시: 꿈의 누수(漏水)

  꿈의 누수(漏水) 원대한 꿈을 가진 이는 좌절하기 쉽다 그는 자신의 몰락을 쉽게 예감하지 못한다 미리 알지 못하는 자의 비극은 그 꿈의 크기만큼 버려야 할 것들에 있다 그에게는 아름다운 봄조차 누렇게 뜬 영양실조의 얼굴로 다가온다 누수는 소리 없이 이어지고 마침내 꿈의 물탱크에서는 텅텅 하는 소리만이 들린다 기괴한 메아리는 이명이 되어 쉴 새 없이 괴롭히며 현실의 비감함은 배고픔과 기나긴 침묵을 낳는다 두려움과 분노는 끼익끽 거리는 미닫이문 뒤에 자리를 잡고 있어서 그는 차마 문을 열지 못하고 그 앞에서 오랫동안 서있었다

자작시: 이상한 날의 시인

  이상한 날의 시인 의류 수거함에 비어지게 나온 구겨진 와이셔츠 그것들은 영영 입을 수 없는가 길 건너편 공사판 바닥에는 흐린 솜뭉치 날리는 와이셔츠의 미래 주단으로 펼쳐져 있어 버려져 누워있는 먼 훗날 나의 관짝 같은 장롱 남은 날들을 헤아려 고개를 주억거리며 이상한 날이다 어쩌다 읽은 시들은 모두 죽은 이들 젊은 나이에 불운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