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변두리 동네의 어느 작은 주점. 주인 여자는 마흔을 좀 넘겼을까? 얼굴은 곱상한데 어딘가 그늘이 져있다. 여자는 나이든 동네 영감들 추근대는 것도 일상이라는듯 눙치며 받아넘긴다. '은희네'라는 가게 이름은 여자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여자는 이 자리의 가게를 인수해서 그대로 장사를 하고 있다. 가게 내부의 인테리어는 낡고 촌스럽다. 군데 군데 얼룩이 있는 자주색 소파며, 터진 가죽 의자는 튀어나온 스펀지 조각도 보인다. 어쩌면 유행에 뒤처진 그런 촌스러움이 오히려 사람들을 복작거리게 만드는 것인지도 모른다. 가게에 오는 손님들 가운데에 주인 여자의 정확한 나이나 고향을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내가 머릿속으로 상상해서 그려본 이 주점은 가수 방실이의 '서울 탱고(1990)' 에서 영감을 받았다. 방실이의 전성기를 대표하는 이 노래를 듣고 있노라면 노래 속 여인에 대한 애잔함 속에 1990년대 서울의 주변부 풍경이 선연히 겹친다. 나름의 꿈을 가지고 서울에 왔지만 인생의 불운이 겹쳐서 영락해버린 중년의 술집 여자. 이 여자에게 서울이란 도시는 부서진 꿈의 잔해 같은 곳인지도 모른다. 여자는 웃음과 술을 팔 뿐, 그 누구에게도 자신의 본심을 내 보이고 싶지 않다. 그러니 '아무것도 묻지 말고 술이나 드시고 가라' 고 부드럽게 말한다. 방실이의 '서울 탱고'가 보여주는 좌절과 관조의 정서는 이 노래를 향유하는 이들의 연령대와 겹친다. 중년의 청자들에게 인생은 더이상 이룰 꿈이 있거나 뭔가 대단한 행복이 있는 것이 아니다. 그저 받아들여야만 하는 것, 매일의 일상을 허덕이며 살아가기에 급급하다. 편안한 동네 술집에서 한잔 술에 그날의 피로를 잊는 것이 소소한 삶의 기쁨이 된다. '서울 탱고'에는 닳아버린 꿈의 자락을 붙잡고 살아가는 여자가 전면의 풍경에 등장한다. 그리고 거기에는 서울이라는 대도시에서 살아가는 익명의 소시민이 '손님'...
푸른별의 구글 블로그입니다. 영화와 미디어에 대한 비평글을 올리고 있습니다. 방문하는 모든 분들에게 평화가 함께 하길 바랍니다. All text contained here within is written by the author. It cannot be used in any format without the permission of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