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는 숲 속을 헤치며 말을 타고 가는 두 명의 여행자를 비춰주는 것에서 시작한다. 때는 1835년, 루마니아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던 왈라키아 왕조가 시대적 배경이다. 대영주(Boyar로 지칭함)의 법 집행관인 코스탄딘은 영주의 명을 받고 도망 노예 집시
카르핀을 찾는 중이다. 그의 동행은 아들 이오니타. 앳된 티가 역력한 십대의 아들은 군복과 총검으로 무장하고 있지만, 하는 행동이
어설프기 짝이 없다. 도망자를 쫓는 여정은 경험많고 노련한 아버지가 아들에게 일러주는 직업과 세상살이에 대한 교육의 시간이
된다. 가는 길에 만나는 사제, 집시, 농민, 관료들과의 만남은 당시의 루마니아 사회를 알 수 있는 역사화처럼 묘사된다.
루마니아의 감독 라두 주드(Radu Jude)의 2015년작 'Aferim!'은 관객들을 19세기의 루마니아로 안내한다.
이 영화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어지는 부분은 '집시(Roma)'와 관련되어 있다. 코스탄딘은 가는 도중에 만나는 집시 무리를
매우 가혹하게 다룬다. 그들은 말 그대로 짐승과 같은, 어쩌면 짐승 보다 못한 존재로 여겨진다. 코스탄딘은 채찍을 휘두르며
집시들을 제압하며, 그들이 채굴한 사금도 갈취한다. '사금 채취'는 집시들이 전통적으로 종사한 일이었다. 루마니아의 귀족 계급과
수도원은 그런 집시들을 노예로 두면서 그들의 노동력과 생산물을 수탈했다. 아버지는 아들에게 집시란 벌레처럼 더럽고 하찮은 존재라고
가르친다. 그가 집시처럼 경멸하고 역겨워하는 또 다른 대상은 사제와의 대화를 통해 드러난다. 길에서 만난 사제는 '유대인'에
대한 지독한 혐오와 배척의 감정을 토로한다. 코스탄딘과 사제가 공유하는 그런 차별적 인식은 유럽 사회가 가진 반유태주의의 오랜
역사를 보여준다.
부자(父子)가 도망 노예를 추적하는 여정의 대부분은 숲 속에서 이루어진다. 그곳은 단순히
물리적 공간이 아니라, 19세기 루마니아인의 정신 세계를 반영한다. 코스탄딘은 길을 묻는 투르크의 관료에게 일부러 틀린 길을
알려준다. 당시 오스만 투르크의 지배를 받고 있었던 왈라키아 공국의 사람으로서 그가 투르크인에게 보여주는 감정은 근원적인
증오이다. 그러나 자신이 속한 사회의 계급체계는 인정한다. 길 비키라고 행패부리는 귀족과 수행원들에게는 군말없이 머리를 숙이고,
이웃 영주의 관료가 영토의 무단 침입을 문제 삼자 돈으로 구슬린다. 지배 계급의 충실한 종복으로서 그는 자신이 사는 세계의 질서에
철저히 순응한다. 코스탄딘이 바라보는 세상은 흑백이 분명하다. 그는 자신이 아는 지식 그대로 아들에게 가르친다. 존경해야할
사람과 증오해 마땅한 대상이 있고, 복종해야할 지배 계급과 마구 짓밟아도 되는 집시 노예들이 있다. 어리버리해 보이는 그의 아들은
스펀지처럼 아버지의 가르침을 빨아들인다. 이렇게 세대 간에 전수되는 경험과 지식은 온갖 편견과 증오, 비굴함과 우월감이 혼재되어
있다.
자, 다시 코스탄딘의 여정으로 돌아간다. 그는 도망간 집시 노예 카르핀을 아들과 합심해 붙잡는다.
카르핀을 숨겨준 농민은 착해서 그를 숨겨준 것이 아니다. 마치 임자없는 물건 줍듯이 농민은 아주 어린 집시와 카르핀을 노예로
삼았다. 오랫동안 노예제를 유지해온 루마니아에서 집시들은 주요한 재산으로 취급되었다. 카르핀을 잡으면서 어린 집시까지 빼앗은
코스탄딘은 여비를 위해 시골 장터에서 집시 아이를 팔아버린다. 아이를 사가려는 귀족은 가축 품평하듯 아이의 치아를 살펴본다. 라두
주드가 보여주는 19세기 초반의 루마니아는 그런 곳이다. 차꼬를 채워서 데리고 가는 노예 카르핀은 말 그대로 짐짝처럼 부려지며,
부자가 먹다남긴 음식 찌꺼기로 연명한다.
흑백의 화면 속에 펼쳐지는 자연의 고요함과 광활함은 놀랍게도 인간
세계의 잔혹함과 기묘한 대비를 이룬다. 이 세계에 연민과 동정, 합리적 이성이란 것이 존재할까? 카르핀은 돌아오는 여정 내내
무죄를 호소한다. 잘못은 유혹한 영주의 부인에게 있으며, 자신을 영주에게 넘겨주면 죽임을 당할 것이라고 말한다. 죄없는 노예를
풀어주자는 아들의 말을 코스탄딘은 묵살한다. 그는 영주 부인의 과오를 곧 알게 되지만, 그럼에도 영주에게 카르핀을 넘긴다. 그는
투철한 직업 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아들에게 가르친다. 그 여정의 끝에서 그가 아들과 함께 목격하게 되는 것은 분노한 영주의
무지막지한 처벌이다.
"세상이란 데가 원래 그런 거야."
처벌 장면에 충격을 받은 아들에게
코스탄딘은 그렇게 위로한다. 권력을 가진 자가 미쳐 날뛰는 것을 바라보야야 하는 세계, 법과 도덕은 그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운
무지막지한 힘의 세계, 그 세상에서 중요한 것은 오직 생존이다. 살아남기 위해 자신보다 강한 이들에게 굴종하고, 약한 이들은
짓밟는다. 영화의 마지막, 짧게 나오는 자막은 영화가 실제 역사적 기록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음을 알려준다. 과연 오늘날 현대의
관객이 사는 세상은 영화 속 코스탄딘이 살았던 세계에서 진보했다고 말할 수 있을까? 라두 주드는 우리가 사는 세계를 이루는
근원적 지배 구조와 그것이 돌아가는 원리에 대해 진지한 질문을 던진다. 새로운 세대의 이 루마니아 감독은 생생하고 통렬한 역사극을
통해 현재를 돌아보게 만든다.
*사진 출처: romaniajournal.ro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