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내가 실패한 뒤에 알콜 중독자가 되지 않은 것이 자랑스러워. 왜냐하면 그건 정말 지루한 일이거든."
남자의 이름은 마이클, 화면 너머로도 그에게서는 술 냄새가 풍기는 것 같다. 아침 10시 59분, 술집 출근 도장을 찍는
58살의 머리 허연 알콜 중독자에게 오늘은 어떤 하루가 펼쳐질까? Bill Ross IV와 Turner Ross, 두 형제들의
다큐 'Bloody Nose, Empty Pockets(2020)'는 라스베가스의 술집 'Roaring '20s'의 마지막
영업일을 카메라에 담는다. 아침부터 새벽까지 진정한 술꾼들의 다채로운 세상이 펼쳐진다. 보는 것만으로도 관객들을 술 취하게 만드는
희한한 다큐. 그대가 술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정말 즐거울 것이고, 그렇지 않다 하더라도 아주 흥미있게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술집의 터줏대감 같은 마이클을 시작으로 하나 둘씩 술꾼들이 모여든다. 서로를 잘 아는 그들은 정답게 포옹하며 인사를 나눈다.
수염을 기른 큰 체구의 바텐더는 기타를 치며 노래를 부르기도 한다. 벽면의 TV들에서는 뉴스와 예능 프로그램, 헐리우드 고전
영화들이 쉴 새 없이 나온다. 때는 바야흐로 트럼프가 대통령에 당선되기 직전, 다큐는 2016년에 만들어졌다. 트럼프가 나오는
화면을 보면서 술꾼 한 명은 예언자적 통찰을 보여준다.
"내 장담하지. 저 인간이 대통령이 되면 탄핵이 되거나, 안그러면 암살을 당할 거야."
손님들의 면면은 참으로 다양하다. 트랜스 젠더, 흑인 노숙자, 아인슈타인 머리를 한 백발의 남자, 60살 된 늙은 여자, 호주
출신 중년 남자, 음악가 등등... 다큐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무려 22명에 이른다. 그들은 모두 코가 깨질 때까지, 바의 마지막
영업을 기념하며 동이 트는 새벽까지 술을 마신다. 다큐 내내 넘쳐나는 술에 음악이 빠질 수 없다. 주크 박스에서는 끊임없이 음악이
흘러 나오고, 손님들은 자신들이 좋아하는 노래를 부르며 흥겹게 춤을 춘다. 그들의 대화에서는 온갖 개똥 철학이 쏟아지고,
올라오는 취기와 함께 외로움의 눈물도 흘린다. 불쾌한 말다툼도 생긴다. 그래도 심각하게 이어지지는 않는다. 그렇게 술 냄새가
진동하는 'Bloody Nose, Empty Pockets'를 보는 관객들은 어느새 자신이 그 바의 손님이 되어있음을 깨닫는다.
냉장고에 맥주가 있다면 꺼내어서 들이키게 될 것이다.
폐업하는 술집의 마지막 하루를 찍다니, 참 다큐 편하게 만드네, 라고 생각했었다. 이 다큐의 제작자들은 그저 바라볼 뿐이다.
감독의 개입을 최소로 하는 다이렉트 시네마(Direct Cinema)를 지향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래도 중간 중간 제작자의
각인이 들어간다. 챕터를 나누듯 시적인 소제목들이 붙어있고, 술집 바깥의 풍경들이 삽화처럼 제시된다. 러닝타임 1시간 38분 동안
관객들은 'Roaring '20s'의 구석진 한 귀퉁이를 차지하고 앉아 술꾼들의 세상을 관조한다. 만약 동네에 저런 술집이
있다면 자주 가게 될 것 같은 친숙하고 편안한 공간, 그런 술집이 문을 닫는다면 많이 아쉽겠다 싶다. 아침에 첫 출근 도장을
찍었던 마이클이 마지막으로 술집 문을 나서면 다큐가 끝난다. 그런데...
'Roaring '20s'는 라스베가스에 있는 술집이 아니라, 루이지애나 주의 테리타운에 위치한 곳으로 아직도 영업하고 있다.
다큐에 나왔던 술꾼들은 오디션을 보고 출연한 일반인들이었다. 단 한 명, 마이클은 진짜 배우였다. '아니, 대체 내가 뭘 본
거야?' 마치 뒤통수 세게 얻어맞은 듯한 충격을 느꼈다. 그렇다면 이건 다큐가 아니라 영화인가? 무려 10년 동안, 제작자인 로스
형제들의 머릿속에서는 독특한 다큐에 대한 생각이 있었다. 술집과 그곳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싶다는 열망은 이전까지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방식의 다큐 제작으로 이어졌다.
원하는 술집을 찾기 위해 곳곳의 바들을 전전했고, 서로 케미가 잘 맞는 술꾼들의 조합을 보여주기 위해 수백 명의 일반인들을
인터뷰했다(출처 mubi.com과의 인터뷰). 카메라가 돌아가고, 그렇게 모인 이들은 진짜 술을 마시며 자신들 그 자체를
연기했다. 물론 설정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바의 벽면 TV에서 나오는 헐리우드 고전 영화들과 뉴스 화면들은 제작자들의 의도대로
편집되어서 나온 화면들이었다. 그 영화들은 내 눈길을 끌었다. 거기에는 1952년작 필름 느와르 'The Narrow
Margin'도 있었다. 원래 촬영 현장에서는 사운드 녹음 때문에 주크 박스를 틀지 않으려고 했으나, 술꾼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노래 없는 술집은 있을 수 없다고 그들이 외쳤고, 결국 다큐는 술과 노래의 향연으로 채워졌다. 등장 인물들이 직접
부르는 스파이스 걸스(Spice Girls)의 노래, 호주 민요 'Waltzing Matilda'에 맞춰 함께 추는 춤은 안온하고
정겨운 술집의 분위기를 만들어 낸다.
이 독창적이고 실험적인 하이브리드(hybrid) 다큐는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넘나들며 제법 그럴듯한 놀라운 세계를 만들어 낸다.
과연 술꾼들의 내면 풍경과 그들의 '집'이라고 할 수 있는 술집을 이토록 사실적으로 그려낸 어떤 영화나 다큐가 있었던가? 이것은
분명 이전에는 없었던 다큐멘터리의 새로운 길이다.
"난 아침해가 싫어."
문 닫는 새벽의 바를 나온 세 명의 술꾼들은 시멘트 바닥에서 해장술을 들이킨다. 그 가운데 한 명의 여성이 밝아오는 아침을
못마땅해 하며 하는 그 말은 진정한 술꾼의 속내를 드러낸다. 그렇다면 'Bloody Nose, Empty Pockets'는
다큐일까, 영화일까? 그런 질문에 그것이 중요하냐고 되묻는 제작자 로스 형제들은 이 작품이 '영화'라고 대답한다. 다큐이면서 극적
허구를 포함하고 있고, 그렇게 만들어진 세계가 실제 보다 더 가까이 진실에 접근한 것처럼 보인다. 관객들은 'Bloody
Nose, Empty Pockets'에서 그 오묘하고도 기이한 마법을 목격한다.
*사진 출처: mubi.com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