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모든 것은 도박이나 다름없어요. 그건 미지의 세계에 자신을 던지는 일입니다."
아흔에 가까운 예술가가 매일 작업하는 스튜디오 근처에는 정신 병동이 있다. 젊은 시절부터 앓았던 정신 질환은 이 예술가를 자주
죽음의 문턱으로 내몰았다. 중년 이후로는 정신 병동에서 거주하면서 창작 작업을 해나갔다. 미치지 않기 위해서, 살아남기 위해서
필사적으로 무언가를 그리고 만들었다. 광기가 자신을 삼켜버리도록 만드는 대신에, 그것이 주는 두려움과 공포를 창작의 주제로
삼았다. 그가 그리는 무한한 점과 끝없이 이어진 세계는 마침내 자신을 구원했고, 사람들을 매혹시켰다. 아마도 그의 이름을 알지
못하는 이들도 검정색 점들이 촘촘히 박힌 커다란 노란 호박을 한 번쯤 보았을 것이다. 헤더 렌즈(Heather Lenz)의
2018년작 다큐 '쿠사마 야요이: 무한의 세계(Kusama: Infinity)'는 일본 출신의 현대 미술 작가 쿠사마
야요이(Kusama Yayoi)의 삶과 예술 세계를 담았다. 다큐는 작가 본인을 비롯해 미술사가와 큐레이터, 지인들의 인터뷰로
이루어져 있다. 작가의 생애 전반을 다루면서, 작품 세계의 변화 과정과 그것이 가지는 의미를 들여다 본다.
마츠모토 시의 부유한 종묘상의 딸로 태어난 쿠사마 야요이는 어렸을 적부터 미술에 소질을 보였다. 그러나 보수적인 부모는 자식의
예술적 재능에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아버지의 여성 편력은 딸에게 남성에 대한 혐오를 심어주었고, 억압적인 모친은 늘
미술을 그만 둘 것을 종용했다. 일본이라는 나라는 야심있는 여성 예술가에게 숨이 막힐 정도로 답답한 곳이었다. 27살, 마침내
쿠사마 야요이는 혈혈단신으로 미국으로 건너간다. 가기 전에 그때까지 그렸던 자신의 그림들을 모두 폐기했다. 그리고 다짐한다. 이
그림들 보다 반드시 더 좋은 작품을 만들어 내겠다고...
뉴욕에 정착한 초창기의 쿠사마 야요이를 기억하는 지인들은 그가 무척 '패기가 넘치는(aggressive)' 사람이었다고
회고한다. 넘쳐나는 창작열로 그 시기에 많은 그림을 쏟아냈다. 그림 뿐만 아니라 도발적인 설치 예술 작품도 선보였다. 독창적이고
새로운 작품으로 뉴욕 예술계에 자신의 이름을 알렸다. 그러나 쿠사마 야요이의 아이디어를 동료 남성 작가들은 거리낌없이 베끼기도
했다. 쿠사마 야요이가 천으로 제작한 소파 작품을 보고 올덴버그(Claes Oldenburg)는 섬유를 창작 소재로 쓰기
시작했다. 앤디 워홀은 쿠사마 야요이의 전시회에서 본 사진 작업을 곧바로 자신의 작품에 써먹었다. 아무리 열심히 그리고,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어도 이 비주류의 외국 여성 예술가에게 현실은 버겁기 짝이 없었다. 작품은 거의 팔리지 않았다.
"그 당시에 나는... 너무나도 가난했어요."
그 시절을 회고하는 노예술가의 눈가에는 눈물이 어린다. 백인 남성 작가들이 우대받는 1960년대의 미국 현대 미술계에서 쿠사마
야요이는 그야말로 생존을 위해 고군분투했다. 무용인들과 함께 하는 행위 예술과 영상물 제작,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누드 퍼포먼스
시위까지 이 여성 예술가는 끊임없이 변화를 시도했다. 그러나 이러한 파격은 고국 일본과 자신의 집안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기
어려웠다. 특히 반전 시위에 참가한 쿠사마 야요이의 나체 사진은 자국 내에게 큰 논란거리가 되었다. 돈이 많았던 쿠사마의
집안에서는 마츠모토 시내의 서점과 가판대에서 모조리 신문과 잡지를 사들여서 감추기까지 했다. 작가는 일본에서 골칫덩이에 수치스런
인물로 여겨졌다.
아무리 노력해도 예술가로서의 명성은 먼 곳에 있었고, 가난은 발목을 잡았다. 급기야 2층 창문에서 몸을 내던지고, 겨우 목숨을
건졌다. 1973년, 결국 깊은 좌절감과 슬픔을 안고 일본으로 돌아온다. 중년의 예술가는 정신 병동을 집으로 삼았고, 그곳에서
다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20년 가까이 쿠사마 야요이는 현대 미술계에서 잊혀진 이름이 된다.
1989년, 뉴욕 국제 현대 미술 센터(CICA)에서 쿠사마 야요이의 회고전이 열렸다. 그것은 쿠사마 야요이의 부활을 알리는
신호탄과도 같았다. 1993년의 베니스 비엔날레는 예술 경력의 새로운 분기점이 된다. 호박과 거울을 이용한 설치 예술 작품은
엄청난 호응을 받았다. 세계 곳곳에서 열리는 전시회들은 관람객으로 넘쳐났다. 특히 거울과 LED 조명을 사용한 설치 예술은
관람객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작품의 일부분을 이룬다. 예술 작품과 감상자가 이렇게 쌍방향으로 소통하는 쿠사마 야요이의 작품들에는
작가 자신의 신념이 투영되어 있다.
"예술이 나에게 삶을 열어주었던 것처럼, 내 작품에서 사람들이 희망을 찾길 바랍니다."
그의 작품 세계를 특징짓는 무수한 점들, 그리고 그것으로 연결된 무한의 그물은 생존을 위해 찾아낸 희망의 도구이다. 광기를
견뎌내며, 그것과 함께 살아가는 자신을 표현해 내는 방법으로서 쏟아낸 점들은 빛의 세계를 이룬다. 그것은 그저 의미없는 반복과
단조로운 리듬이 아니라 삶에 대한 거대한 찬가와 맞닿아 있다. 쿠사마 야요이의 작품을 보는 관객들은 무한히 이어진 점들의 세계
속에서 새로운 생의 감각을 발견한다. 다큐의 끝부분에서 노작가는 영원히 살고 싶다고 말한다. 예술가는 오직 자신의 작품을 통해서만
그것이 가능하다. 생의 끝자락에 서있는 쿠사마 야요이에게 그것은 이미 성취된 꿈일지도 모른다.
*사진 출처: theguardian.com
**사진 출처: icamiami.org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