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리 소설 팬들에게 기차를 배경으로 하는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은 아마도 '오리엔트 특급 살인(1934)'일 것이다. 애거서
크리스티의 이 소설을 원작으로 한 시드니 루멧 감독의 1974년작 영화도 있다. 크리스티는 또 다른 작품 '패딩턴발 4시
50분(1957)'에서도 '기차'의 공간성을 치밀하게 이용한다. 일본의 추리 소설 작가 마츠모토 세이초도 '점과
선(1957)'에서 기차를 전면에 내세워 사건을 전개시킨다.
1950년대에 제작한 일련의 서부극으로 유명한
앤소니 만(Anthony Mann) 감독이 1951년에 'The Tall Target'을 내놓았을 때, 관객들은 물론이고
평론가들도 낯설게 느꼈던 모양이다. 영화는 흥행에 실패했고, 앤소니 만 감독의 필모그래피에서도 그다지 주목받는 작품이 되지는
못했다. 그러나 1861년의 어느 기차를 배경으로 하는 이 흥미진진한 영화는 좀 더 나은 대접을 받을 필요가 있다.
1861년 2월, 뉴욕 경찰 존 케네디는 대통령 후보로 출마한 링컨에 대한 암살 첩보를 입수한다. 그는 링컨이 볼티모어에서
워싱턴 D.C.로 이동할 때 타게 될 기차가 암살범들의 표적이 될 것이라고 직감한다. 그러나 케네디의 보고는 묵살되고, 분개한
그는 혼자서 암살 시도를 저지하기로 마음먹는다. 기차에서 자신의 동료와 만나기로 한 케네디는 차디찬 주검이 되어버린 형사를
발견한다. 분명히 기차 안에서는 어떤 음모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어떻게 그 많은 승객들 가운데 암살범을 찾아낼 것인가?
케네디는 과연 링컨을 구할 수 있을까...
정치적 논쟁의 중심에 서있었던 링컨은 늘 암살 위협에 노출되어
있었다. 영화 'The Tall Target'은 링컨을 둘러싼 그런 음모들 가운데 한 가지를 주요한 플롯으로 취한다. 선거 운동을
위해 이동하는 그를 노리는 이들이 있다. 그리고 그것을 막으려는 형사는 오직 혼자의 힘으로만 싸워야 한다. '기차'는 형사
케네디의 외로운 전장이나 마찬가지이다. 암살범은 철저히 자신의 존재를 감추고 있으며, 그곳에는 너무나 다양한 이들이 있다.
민병대 장교, 작가, 남군에 입대 예정인 웨스트포인트 졸업 생도와 여동생, 그들의 흑인 노예 소녀, 장난꾸러기 꼬마와 엄마...
기차 안은 마치 사회의 축소판처럼 보인다.
당시 미국 사회를 뜨겁게 달구었던 노예제를 둘러싼 논쟁은 승객들
사이의 대화를 통해서 드러난다. 노예제에 반대하는 작가 알솝 부인은 남부 출신의 보퍼트 남매와 대척점에 서있다. 알솝 부인이
남매가 데리고 있는 노예 소녀 레이첼에게 자유에 대한 질문을 던지자 지니 보퍼트는 민감하게 반응한다. 지니는 레이첼이 자신과 같이
자유로우며, 그것이 레이첼에게 따로 자유를 줄 필요가 없는 이유라고 강변한다.
"자유는 아가씨가 나에게
주어야만 하는 게 아닙니다. 그건 태어날 때부터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이에요(Freedom isn't a thing you
should be able to give me, Miss Ginny. Freedom is something I should
have been born with)."
노예 소녀 레이첼은 부드럽고 단호한 어조로 자신의 뜻을 밝힌다. 알솝
부인이 대변하는 것처럼 노예제는 인본주의적 관점에서 단순한 신념의 문제만은 아니었다. 그것은 첨예한 경제 논리와 연관되어 있기도
했다. 케네디를 돕는 것처럼 보였던 민병대 장교 재퍼스는 암살 음모에 연루된 것으로 밝혀진다. 그는 노예제가 폐지되면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북부 면화 공장의 수익이 줄어들 것을 염려한다. 실제로 남부가 연방에서 탈퇴한 가장 큰 이유는 경제적인 면과 관련된
것이었다. 노예들에 의존하고 있는 남부의 면화 농장주들은 링컨의 반대 입장에 설 수 밖에 없었다.
앤소니
만은 '기차'라는 닫힌 공간을 그렇게 정치적 공론의 장으로 변모시킨다. 외형적으로는 느와르의 틀을 취하고 있지만, 이 영화의
내재적인 메시지는 매우 정치적이다. 영화는 '링컨'이 대변하는 위대한 연방의 가치, 그리고 흑인 민권의 옹호자로서의 상징성을
신화화한다. 암살범들에게 키가 큰 링컨의 존재를 뜻하는 'The Tall Target'은 그러므로 어떻게든 지켜야할 존재가 된다.
기이한 일치로 영화 속에서 그 링컨을 암살의 위협에서 구하는 것은 '케네디'란 이름의 형사다. 그리고 영화가 개봉되고 9년 후,
우리가 알고 있듯 정치인 케네디는 미국의 대통령으로서 자유와 인권을 상징하는 인물이 된다.
'매카시즘'이라는
사상 검증의 광풍이 휘몰아닥친 그 시기의 미국인들에게 링컨은 분열을 통합하는 상징적 아이콘이기도 했다. 공산주의자 색출은 단지
정치권에서만 문제가 된 것은 아니었다. 미국 사회 전체를 강타했으며, 그로 인해 직장에서 쫓겨나거나 투옥당하는 이들이 상당수에
이르렀다. 상원의원 매카시가 그 광풍에 편승한 기회주의자였다면, 노회한 정치인 닉슨이야말로 실질적인 주동자였다. 그는 이
시기에 공화당 내에서 자신의 정치적 기반을 확고히 한다.
생존을 위해 서로가 서로를 고발하는 시대, 그 누구도
믿을 수 없다. 영화 속 형사 케네디는 적과 친구를 구분할 수 없는 모호한 안개 속과 같은 기차 안을 끊임없이 탐색하며
돌아다닌다. 마침내 그의 분투로 링컨은 암살자의 손길에서 벗어난다. 용기있는 개인의 결단은 그렇게 한 사람의 대통령과 미국을
구한다. 가상의 역사물로서 'The Tall Target'은 기차라는 숨막힐 듯한 폐쇄적 공간 속에 당시 미국 사회의 분열과
정치적 독선을 은유적으로 담는다.
*사진 출처: tcm.com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