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가족주의와 여성의 삶, '딸, 아내, 어머니(娘・妻・母, Daughters, Wives and a Mother, 1960)

  

  이제 환갑을 앞둔 아키 여사는 5남매를 두었다. 모처럼 가족이 모인 자리, 아버지가 유산으로 남긴 집 이야기가 나온다. 시세가 얼마인지에서부터 시작된 이야기는 막내딸 하루코가 계산기를 찾으면서 뭔가 분위기가 달라진다. 하루코는 대략의 감정가를 바탕으로 가족 구성원들 각자가 받게될 돈을 계산한다. 하루코의 셈법을 듣다 보면, 당시 일본 민법에서 여성 배우자의 상속분은 3/1이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나루세 미키오의 1960년작 '딸, 아내, 어머니(Daughters, Wives and a Mother)'를 관통하는 주제는 역시 '돈'과 긴밀히 얽혀 있다. 어머니 앞에서 태연히 유산 상속분을 이야기하는 자식들. 어머니 아키 여사는 어색한 표정을 지으며 그런 자식들을 바라볼 뿐이다.

  영화 '딸, 아내, 어머니'의 가족 구성원들은 돈과 관련된 문제로 골머리를 앓는다. 장남은 아내의 삼촌이 하는 공장에 투자하면서 형제들 모르게 집을 저당잡혔다. 둘째 딸 카오루는 홀시어머니의 시집살이에서 벗어나 분가를 하고 싶다. 그런데 돈이 없다. 큰며느리 카즈코(타카미네 히데코 분)는 툭하면 사업 자금 빌려달라고 찾아오는 삼촌 때문에 괴롭다. 이 가족에게 큰딸 사나에(하라 세츠코 분)가 가진 백만 엔의 돈이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은 당연하다. 갑작스런 사고로 남편을 잃은 사나에는 남편의 보험금을 받는다. 큰오빠는 투자 좀 하겠다고, 여동생은 아파트 얻을 돈을 빌려달라고 한다. 

  러닝 타임 2시간 3분, 컬러 시네마스코프(CinemaScope)로 제작된 이 영화는 나루세 미키오의 완성판 가족극 같다. 영화 속 아키 여사의 자녀들은 큰딸 사나에를 제외하고 매우 계산적이고 냉정하다. 유이치로는 처삼촌의 부도 때문에 집이 은행에 넘어가게 될 거라고 동생들에게 알린다. 그러자 동생들은 자신들의 상속분을 포기할 수 없다고 말한다. 유이치로가 폭탄 선언을 한다. "그럼 난 어머니 모실 수 없다. 의무도 똑같이 나누어야 맞지 않냐?" 나루세 미키오가 그려낸 이 가족극은 쓸쓸함과 비감함이 느껴진다. 전후의 세대는 경제적 풍요 속에 물질적 가치에 경도되었다. 전통과 개인주의적 가치관은 여지없이 충돌한다. '딸, 아내, 어머니'에 나오는 가족의 모습에는 급변하는 일본 사회의 세태가 반영되어 있다.

  어떤 면에서 이 영화는 가족 영화가 아니라 노인 문제에 대한 영화처럼 보이기도 한다. 카오루의 잔소리쟁이 시어머니는 며느리의 분가 선언에 분노하며 양로원으로 가버린다. 영화 속 양로원의 모습은 당시 일본 사회에서 고령층 인구의 복지 문제가 서서히 대두되고 있음을 암시한다. 카오루의 시어머니는 아키 여사에게 '이런 곳에 사느니 차라리 죽어버리겠다'고 말한다. 자린고비 시어머니는 그곳의 요금이 꽤 높다는 점도 언급한다. 자식의 봉양을 받지 못하는 가난한 노인의 선택지는 매우 한정적이며, 그것은 나중에 아키 여사의 괴로운 고민거리가 된다. 

  나루세 미키오는 세대 갈등과 가족주의의 균열을 그려내면서도, '여성의 삶'에 대한 면밀한 탐구를 이어간다. 시대는 변하고 있지만 여전히 여성의 삶은 남성에게 매여 있다. 과부가 된 사나에는 가족과 주변으로부터 집요한 재혼 요구를 받는다. 여성의 사회적 기능은 오로지 가족 내부의 '딸, 아내, 어머니'의 자리에서 이루어질 뿐이다. 사나에는 자신에게 구애하는 젊고 매력적인 농장주 대신에 부유한 중년의 남성과 재혼한다. 엄마를 함께 모시고 살기 위해서이다. 그렇게 딸은 가족의 어려움을 짊어진다. 한편 큰며느리 카즈코는 삼촌의 파산 때문에 남편이 겪고 있는 곤란에 미안함을 느낀다. 계속 시어머니를 모시겠다는 카즈코의 결정은 아내로서 남편과 그 가족에 대한 의무를 다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영화 속 여성들은 가족주의가 부여한 규범과 굴레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개인주의로 무장한 새로운 세대인 막내딸 하루코는 변화의 기점에 서있는 여성인지도 모른다. 하루코는 엄마의 거취에 대해 그다지 고민하지 않으며, 큰언니의 재혼으로 그 문제가 해결되었다는 데에 안도한다. 희생, 배려, 의무... 이러한 가치들로부터 하루코와 같은 세대의 여성은 점차로 중립적이 되어갈 터였다.

  영화의 마지막, 아키 여사는 유모차를 끌고 나온 동네 영감과 마주친다. 손주인줄 알았던 아이는 영감이 용돈벌이를 위해 돌보는 이웃집 아이였다. 그 아이가 울음을 터뜨리자 아키 여사는 집으로 향하던 발걸음을 돌린다. 아이를 부드럽게 어르는 그 모습은 어머니로 살아온 세월의 무게를 짐작하게 한다. 양로원을 알아 보던 이 어머니는 아직 누구와, 어디에서 살 것인지 결정하지 못했다. 그렇게 영화는 닫힌다. 나루세 미키오는 '딸, 아내, 어머니'를 통해 시대의 변화와 여성의 삶을 정교하게 포개어 놓는다. 



*사진 출처: themoviedb.org


Familism and Women's Life, 'Daughters, Wives, and Mothers (娘・妻・母, Daughters, Wives and a Mother, 1960)


June 19, 2022

  

  Aki, who is approaching her 60th birthday, has five children. It tells the story of the place where her family gathers, and the house her father left as a legacy. The mood changes when her youngest daughter Haruko finds a calculator. Haruko calculates how much money each member of her family will receive. We learned that a female spouse's share was 3/1 in Japanese civil law at that time. The theme running through Naruse Mikio's 1960 work 'Daughters, Wives and a Mother' is also closely intertwined with 'money'. Sons and daughters casually talk about inheritance in front of their mothers. Their mother, Ms. Aki has no expression on her face. Just she only looks at those children.


  The family members of the movie are troubled by money-related problems. The eldest son invested in a factory run by his wife's uncle. The house was mortgaged without agreement of siblings. Her second daughter, Kaoru, wants to break away from her mother-in-law. But she has no money. Eldest daughter-in-law Kazuko (played by Hideko Takamine) is troubled by her uncle, who frequently comes to borrow his business funds. It's no wonder this family is interested in the million yen money eldest daughter Sanae (played by Hara Setsuko) has. Sanae, who lost her husband in her sudden accident, receives her husband's insurance money. Her older brother wants some investment. And her younger sister asks to borrow money to get an apartment. 


  This film is a well made family movie by Naruse Mikio. Aki's children in the movie are very selfish and cold-hearted, except for her eldest daughter Sanae. Yuichiro tells the other siblings that the house will be sold to the bank because of failure of investment. Then they can't give up their inheritance. So Yuichiro declared, "Then I can't take care of my mother. Shouldn't the duties be equally shared?" Generations after the war were inclined to material values ​​amid economic prosperity. Tradition and individualistic values ​​inevitably collide. The appearance of the family in 'Daughter, Wife, Mother' reflects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 of Japanese society.


  In some ways, this film looks more like a film about elderly woman. Kaoru's nagging mother-in-law was furious. Because her daughter-in-law declared that she would start a branch family. So she goes to a nursing home. The movie suggests the welfare problem of the elderly people. It was slowly emerging in Japanese society at the time. Kaoru's mother-in-law tells Ms. Aki, 'I'd rather die than live in a place like this'. Stingy mother-in-law also mentions that the place costs a lot of money. The poor senior person who is unable to receive the care of their children are very miserable. That problem becomes a agonizing concern for Ms. Aki. 


  Naruse Mikio continues his in-depth exploration of 'women's life' while portraying the rifts of generational conflict and familism. Times are changing, but women's lives are still tied to men. Sanae, who has become a widow, receives persistent demands for remarriage from her family. Women's social status is only achieved in the position of 'daughter, wife, and mother' within the family. She remarries a wealthy middle-aged man. Sanae gives up the young and attractive wooer to live with her mother. So the daughter bears her family's hardships. Meanwhile, her eldest daughter-in-law Kazuko feels sorry for the plight of her husband. Her decision to live with her mother-in-law is a will that she wants to fulfill her duties of family.


  The women in the film are not free from the norms and bridles imposed by familism. Youngest daughter, Haruko, a new generation advocates individualism. She may be a woman standing on the verge of change. Haruko doesn't care much about her mother. She is relieved that her eldest sister's remarriage. Because that has solved the mother's problem. Sacrifice, consideration, duty... From these values, women of the same generation as Haruko would gradually tend to be a little.


  At the end of the movie, Ms. Aki runs into an old man who pulls out a stroller. She thought that the child was his grandchild. But he took care of the neighbor's child to earn money. When she hears the child crying, she turns her steps towards her house. Then she soothes the child gently. It makes us guess the weight of her years as a mother. This mother, who was looking for a nursing home, has not yet to decide with whom she will live and where she will live. So the movie closes. Naruse Mikio elaborately portrays the changing times and women's lives in 'Daughter, Wife, and Mother'. 


*Photo source: themoviedb.org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적룡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영화, 천애명월도(天涯明月刀, The Magic Blade, 1976)

    영화의 제목이 독특하다. '천애명월도'라는 명검을 두고 벌이는 검객들의 혈투인가, 막연한 생각으로 영화를 봤다. 그런 검은 영화 속에 나오지 않는다. 대신에 이 영화를 지배하는 비장의 무기는 공작령(孔雀翎, 공작의 깃모양 무기로 막강한 화력을 지님)이다. '천애명월도(天涯明月刀, 1976)'는 '유성호접검( 流星蝴蝶劍, 1976)'을 만든 초원 감독의 작품이다.     검객 부홍설(적룡 분)은 강호의 일인자가 되겠다는 일념으로 고향을 떠나 방랑 중이다. 그는 자신과 적대 관계에 있는 연남비로부터 흑도파의 우두머리 공자우가 공작령을 차지해서 강호제패를 노린다는 말을 듣는다. 공작령을 찾아내기 위한 여정에 함께 하게 된 연남비와 부홍설, 부홍설은 공작령의 주인이자 공작산장의 우두머리 추수청에게 공작령을 얻어내는 데 성공한다. 그 과정에서 추수청이 공자우의 밀정에 의해 죽게 되고, 추수청은 딸 옥정을 부홍설에게 부탁한다. 공자우는 자신의 부하 검객들을 보내 부홍설을 죽이고 공작령을 빼앗으려 한다. 그 와중에 연남비의 생사도 알 수 없게 되고, 추옥정은 납치된다. 부홍설은 공작령을 지키고, 옥정을 구해낼 수 있을까...   이 영화의 원작은 무협 소설 작가 고룡의 동명 소설이다. 그런데 이 소설은 전작이 있다. 말하자면 시리즈물이라고 할 수 있는데, '변성랑자(邊城浪子)'가 그것으로 '부홍설'이라는 인물의 인생을 담고 있다. 그러나 영화 '천애명월도'는 부홍설에 대한 그 어떤 정보도 주지 않고 바로 연남비와의 대결에서부터 시작한다. 초원 감독은 캐릭터에 대한 묘사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 것 같다. 영화는 쉴 새 없이 이어지는 대결로 꽉 채워져 있기 때문이다. 공자우의 본거지에 부홍설이 들어가기까지 너무나 많은 자객들이 나오고, 대결이 이어진다. 말하자면 볼거리 위주의, 철저히 흥행을 노린 감독의 의도라고 할 수 있다. 지금의 관객들 시각에서 ...

자작시: 다래끼

  다래끼 무지근한 통증은 너와 함께 온다 나는 네가 절대로 그립지 않다 너 없이도 잘살고 있다 하지만 너의 부드러운 눈길을 기억한다 아주 약한 안약에서부터 센 안약까지 차례대로 넣어본다 나는 너를 막아야 한다 나은 것 같다가 다시 아프고 가렵다 나는 조금씩 끈기를 잃어가고 있다 너는 물기를 머금은 염화칼슘처럼 끈덕지게 내 눈가를 파고들며 묻는다 이길 수 있니? 곪아서 터지게 내버려둘 자신이 없으므로 열심히 눈을 닦아주며 온기를 불어넣는다 그대로 그렇게 잠들어 줄 수 있다면 그래, 우리는 만나지 않는 것이 좋겠어

자작시: 하이엔드(high-end)

  하이엔드(high-end) 싸구려는 항상 냄새가 나 짜고 눅진한 부패의 냄새 썩은 감자의 냄새는 오천 원짜리 티셔츠의 촉감과 비슷해 등고선(等高線) 읽는 법을 알아? 만약 모른다면 안내자를 찾는 것이 좋아 안내자의 등에 업혀 이곳에 올 수도 있지 더러운 수작, 아니 괜찮은 편법 차별하고, 배제하고, 경멸을 내쉬어 우리가 서 있는 곳 우리가 가진 것 우리들만의 공론장(公論場) 즐겁고 지루한 유희 불현듯 당신들의 밤은 오고 부러진 선인장의 살점을 씹으며 낙타가 소금 바늘귀를 천천히 바수어내는 하이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