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가족주의와 여성의 삶, '딸, 아내, 어머니(娘・妻・母, Daughters, Wives and a Mother, 1960)

  

  이제 환갑을 앞둔 아키 여사는 5남매를 두었다. 모처럼 가족이 모인 자리, 아버지가 유산으로 남긴 집 이야기가 나온다. 시세가 얼마인지에서부터 시작된 이야기는 막내딸 하루코가 계산기를 찾으면서 뭔가 분위기가 달라진다. 하루코는 대략의 감정가를 바탕으로 가족 구성원들 각자가 받게될 돈을 계산한다. 하루코의 셈법을 듣다 보면, 당시 일본 민법에서 여성 배우자의 상속분은 3/1이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나루세 미키오의 1960년작 '딸, 아내, 어머니(Daughters, Wives and a Mother)'를 관통하는 주제는 역시 '돈'과 긴밀히 얽혀 있다. 어머니 앞에서 태연히 유산 상속분을 이야기하는 자식들. 어머니 아키 여사는 어색한 표정을 지으며 그런 자식들을 바라볼 뿐이다.

  영화 '딸, 아내, 어머니'의 가족 구성원들은 돈과 관련된 문제로 골머리를 앓는다. 장남은 아내의 삼촌이 하는 공장에 투자하면서 형제들 모르게 집을 저당잡혔다. 둘째 딸 카오루는 홀시어머니의 시집살이에서 벗어나 분가를 하고 싶다. 그런데 돈이 없다. 큰며느리 카즈코(타카미네 히데코 분)는 툭하면 사업 자금 빌려달라고 찾아오는 삼촌 때문에 괴롭다. 이 가족에게 큰딸 사나에(하라 세츠코 분)가 가진 백만 엔의 돈이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은 당연하다. 갑작스런 사고로 남편을 잃은 사나에는 남편의 보험금을 받는다. 큰오빠는 투자 좀 하겠다고, 여동생은 아파트 얻을 돈을 빌려달라고 한다. 

  러닝 타임 2시간 3분, 컬러 시네마스코프(CinemaScope)로 제작된 이 영화는 나루세 미키오의 완성판 가족극 같다. 영화 속 아키 여사의 자녀들은 큰딸 사나에를 제외하고 매우 계산적이고 냉정하다. 유이치로는 처삼촌의 부도 때문에 집이 은행에 넘어가게 될 거라고 동생들에게 알린다. 그러자 동생들은 자신들의 상속분을 포기할 수 없다고 말한다. 유이치로가 폭탄 선언을 한다. "그럼 난 어머니 모실 수 없다. 의무도 똑같이 나누어야 맞지 않냐?" 나루세 미키오가 그려낸 이 가족극은 쓸쓸함과 비감함이 느껴진다. 전후의 세대는 경제적 풍요 속에 물질적 가치에 경도되었다. 전통과 개인주의적 가치관은 여지없이 충돌한다. '딸, 아내, 어머니'에 나오는 가족의 모습에는 급변하는 일본 사회의 세태가 반영되어 있다.

  어떤 면에서 이 영화는 가족 영화가 아니라 노인 문제에 대한 영화처럼 보이기도 한다. 카오루의 잔소리쟁이 시어머니는 며느리의 분가 선언에 분노하며 양로원으로 가버린다. 영화 속 양로원의 모습은 당시 일본 사회에서 고령층 인구의 복지 문제가 서서히 대두되고 있음을 암시한다. 카오루의 시어머니는 아키 여사에게 '이런 곳에 사느니 차라리 죽어버리겠다'고 말한다. 자린고비 시어머니는 그곳의 요금이 꽤 높다는 점도 언급한다. 자식의 봉양을 받지 못하는 가난한 노인의 선택지는 매우 한정적이며, 그것은 나중에 아키 여사의 괴로운 고민거리가 된다. 

  나루세 미키오는 세대 갈등과 가족주의의 균열을 그려내면서도, '여성의 삶'에 대한 면밀한 탐구를 이어간다. 시대는 변하고 있지만 여전히 여성의 삶은 남성에게 매여 있다. 과부가 된 사나에는 가족과 주변으로부터 집요한 재혼 요구를 받는다. 여성의 사회적 기능은 오로지 가족 내부의 '딸, 아내, 어머니'의 자리에서 이루어질 뿐이다. 사나에는 자신에게 구애하는 젊고 매력적인 농장주 대신에 부유한 중년의 남성과 재혼한다. 엄마를 함께 모시고 살기 위해서이다. 그렇게 딸은 가족의 어려움을 짊어진다. 한편 큰며느리 카즈코는 삼촌의 파산 때문에 남편이 겪고 있는 곤란에 미안함을 느낀다. 계속 시어머니를 모시겠다는 카즈코의 결정은 아내로서 남편과 그 가족에 대한 의무를 다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영화 속 여성들은 가족주의가 부여한 규범과 굴레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개인주의로 무장한 새로운 세대인 막내딸 하루코는 변화의 기점에 서있는 여성인지도 모른다. 하루코는 엄마의 거취에 대해 그다지 고민하지 않으며, 큰언니의 재혼으로 그 문제가 해결되었다는 데에 안도한다. 희생, 배려, 의무... 이러한 가치들로부터 하루코와 같은 세대의 여성은 점차로 중립적이 되어갈 터였다.

  영화의 마지막, 아키 여사는 유모차를 끌고 나온 동네 영감과 마주친다. 손주인줄 알았던 아이는 영감이 용돈벌이를 위해 돌보는 이웃집 아이였다. 그 아이가 울음을 터뜨리자 아키 여사는 집으로 향하던 발걸음을 돌린다. 아이를 부드럽게 어르는 그 모습은 어머니로 살아온 세월의 무게를 짐작하게 한다. 양로원을 알아 보던 이 어머니는 아직 누구와, 어디에서 살 것인지 결정하지 못했다. 그렇게 영화는 닫힌다. 나루세 미키오는 '딸, 아내, 어머니'를 통해 시대의 변화와 여성의 삶을 정교하게 포개어 놓는다. 



*사진 출처: themoviedb.org


Familism and Women's Life, 'Daughters, Wives, and Mothers (娘・妻・母, Daughters, Wives and a Mother, 1960)


June 19, 2022

  

  Aki, who is approaching her 60th birthday, has five children. It tells the story of the place where her family gathers, and the house her father left as a legacy. The mood changes when her youngest daughter Haruko finds a calculator. Haruko calculates how much money each member of her family will receive. We learned that a female spouse's share was 3/1 in Japanese civil law at that time. The theme running through Naruse Mikio's 1960 work 'Daughters, Wives and a Mother' is also closely intertwined with 'money'. Sons and daughters casually talk about inheritance in front of their mothers. Their mother, Ms. Aki has no expression on her face. Just she only looks at those children.


  The family members of the movie are troubled by money-related problems. The eldest son invested in a factory run by his wife's uncle. The house was mortgaged without agreement of siblings. Her second daughter, Kaoru, wants to break away from her mother-in-law. But she has no money. Eldest daughter-in-law Kazuko (played by Hideko Takamine) is troubled by her uncle, who frequently comes to borrow his business funds. It's no wonder this family is interested in the million yen money eldest daughter Sanae (played by Hara Setsuko) has. Sanae, who lost her husband in her sudden accident, receives her husband's insurance money. Her older brother wants some investment. And her younger sister asks to borrow money to get an apartment. 


  This film is a well made family movie by Naruse Mikio. Aki's children in the movie are very selfish and cold-hearted, except for her eldest daughter Sanae. Yuichiro tells the other siblings that the house will be sold to the bank because of failure of investment. Then they can't give up their inheritance. So Yuichiro declared, "Then I can't take care of my mother. Shouldn't the duties be equally shared?" Generations after the war were inclined to material values ​​amid economic prosperity. Tradition and individualistic values ​​inevitably collide. The appearance of the family in 'Daughter, Wife, Mother' reflects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 of Japanese society.


  In some ways, this film looks more like a film about elderly woman. Kaoru's nagging mother-in-law was furious. Because her daughter-in-law declared that she would start a branch family. So she goes to a nursing home. The movie suggests the welfare problem of the elderly people. It was slowly emerging in Japanese society at the time. Kaoru's mother-in-law tells Ms. Aki, 'I'd rather die than live in a place like this'. Stingy mother-in-law also mentions that the place costs a lot of money. The poor senior person who is unable to receive the care of their children are very miserable. That problem becomes a agonizing concern for Ms. Aki. 


  Naruse Mikio continues his in-depth exploration of 'women's life' while portraying the rifts of generational conflict and familism. Times are changing, but women's lives are still tied to men. Sanae, who has become a widow, receives persistent demands for remarriage from her family. Women's social status is only achieved in the position of 'daughter, wife, and mother' within the family. She remarries a wealthy middle-aged man. Sanae gives up the young and attractive wooer to live with her mother. So the daughter bears her family's hardships. Meanwhile, her eldest daughter-in-law Kazuko feels sorry for the plight of her husband. Her decision to live with her mother-in-law is a will that she wants to fulfill her duties of family.


  The women in the film are not free from the norms and bridles imposed by familism. Youngest daughter, Haruko, a new generation advocates individualism. She may be a woman standing on the verge of change. Haruko doesn't care much about her mother. She is relieved that her eldest sister's remarriage. Because that has solved the mother's problem. Sacrifice, consideration, duty... From these values, women of the same generation as Haruko would gradually tend to be a little.


  At the end of the movie, Ms. Aki runs into an old man who pulls out a stroller. She thought that the child was his grandchild. But he took care of the neighbor's child to earn money. When she hears the child crying, she turns her steps towards her house. Then she soothes the child gently. It makes us guess the weight of her years as a mother. This mother, who was looking for a nursing home, has not yet to decide with whom she will live and where she will live. So the movie closes. Naruse Mikio elaborately portrays the changing times and women's lives in 'Daughter, Wife, and Mother'. 


*Photo source: themoviedb.org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적룡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영화, 천애명월도(天涯明月刀, The Magic Blade, 1976)

    영화의 제목이 독특하다. '천애명월도'라는 명검을 두고 벌이는 검객들의 혈투인가, 막연한 생각으로 영화를 봤다. 그런 검은 영화 속에 나오지 않는다. 대신에 이 영화를 지배하는 비장의 무기는 공작령(孔雀翎, 공작의 깃모양 무기로 막강한 화력을 지님)이다. '천애명월도(天涯明月刀, 1976)'는 '유성호접검( 流星蝴蝶劍, 1976)'을 만든 초원 감독의 작품이다.     검객 부홍설(적룡 분)은 강호의 일인자가 되겠다는 일념으로 고향을 떠나 방랑 중이다. 그는 자신과 적대 관계에 있는 연남비로부터 흑도파의 우두머리 공자우가 공작령을 차지해서 강호제패를 노린다는 말을 듣는다. 공작령을 찾아내기 위한 여정에 함께 하게 된 연남비와 부홍설, 부홍설은 공작령의 주인이자 공작산장의 우두머리 추수청에게 공작령을 얻어내는 데 성공한다. 그 과정에서 추수청이 공자우의 밀정에 의해 죽게 되고, 추수청은 딸 옥정을 부홍설에게 부탁한다. 공자우는 자신의 부하 검객들을 보내 부홍설을 죽이고 공작령을 빼앗으려 한다. 그 와중에 연남비의 생사도 알 수 없게 되고, 추옥정은 납치된다. 부홍설은 공작령을 지키고, 옥정을 구해낼 수 있을까...   이 영화의 원작은 무협 소설 작가 고룡의 동명 소설이다. 그런데 이 소설은 전작이 있다. 말하자면 시리즈물이라고 할 수 있는데, '변성랑자(邊城浪子)'가 그것으로 '부홍설'이라는 인물의 인생을 담고 있다. 그러나 영화 '천애명월도'는 부홍설에 대한 그 어떤 정보도 주지 않고 바로 연남비와의 대결에서부터 시작한다. 초원 감독은 캐릭터에 대한 묘사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 것 같다. 영화는 쉴 새 없이 이어지는 대결로 꽉 채워져 있기 때문이다. 공자우의 본거지에 부홍설이 들어가기까지 너무나 많은 자객들이 나오고, 대결이 이어진다. 말하자면 볼거리 위주의, 철저히 흥행을 노린 감독의 의도라고 할 수 있다. 지금의 관객들 시각에서

전후 일본 영화(Post-war Japan Movie, 1946-1955) 3편: 전후 일본 사회가 마주한 고통과 혼란, 미스터 푸(プーサン, Mr. Pu, 1953)

    노로는 고등학교 선생이다. 그는 과속을 하는 트럭을 피하려다 손을 다친다. 그가 받는 빠듯한 봉급으로 단칸 월세방 돈 내는 것도 힘든데 병원비까지 나가게 생겼다. 그는 학교에서 그의 봉급을 올려주길 기대한다. 하지만 깡패같은 고등학교 이사장은 노로에게 야간 고등학교 강의까지 더하라고 강권한다. 천성이 유약한 노로는 '아니오'라는 말을 차마 하지 못한다. 뭔가 억울하다는 생각이 든 노로. 그는 자신의 제자가 권유한 반정부 시위에 나가보기로 한다. 시위대는 경찰의 강경대응으로 무참히 진압되었다. 노로는 경찰서에 끌려갔다가 겨우 풀려난다. 하지만 이 일을 빌미로 이사장은 노로를 해고한다. 전후의 어려운 시절, 노로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이치카와 곤(市川崑, Kon Ichikawa) 감독의 영화 '미스터 푸(プーサン, Mr. Pu, 1953)'는 고등학교 선생 노로와 그의 주변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전후 일본 사회를 보여준다. 이 영화는 원작이 되는 만화가 있다. 만화가 요코야마 타이조(横山泰三)는 1950년부터 1953년  마이니치 신문(毎日新聞)에 4컷 만화 '미스터 푸(プーサン)'를 연재했다. 4컷 만화에 담긴 날카로운 사회비판적 메시지 때문에 만화는 연재 중단의 압력을 받았다. 이치카와 곤은 그 만화에서 영화의 주요한 소재를 차용했다. 영화  '미스터 푸(プーサン)'는 명확한 서사 대신에 다양한 등장 인물들이 처한 상황을 유기적으로 연결한다. 영화의 그러한 구성은 전후 일본 사회의 여러 면면들을 부각시킨다.    노로는 다친 손의 치료를 위해 병원에 간다. 그런데 의사는 노로의 몸을 진찰하더니 '영양실조'라면서 잘 먹어야 한다고 처방을 내린다. 젊은 의사는 환자들 대부분이 제대로 먹지 못해 건강이 좋지 않다고 말한다. 노로가 의사에게 손을 치료받고 싶다고 하자, 의사는 병원의 X-ray 기계가 고장나서 사진을 찍을 수 없다고 말한다. 이 장면은 전후

Shirley Clarke의 실패한 타자성 탐구, Portrait of Jason(1967)

  1. 이상한 나라의 Jason Holliday   한 남자가 자신을 소개한다. 자신의 이름이 Jason Holliday라고 말한 그는 본명이 Aaron Payne이라고 말하는 것을 잊지 않는다. 마일스 데이비스(Miles Davis, 유명한 재즈 연주자)와도 안다고 말하는 그는 자신이 가진 직업을 줄줄이 늘어놓는다. 그가 말한 직업들 중에는 남창(whore)도 있다. 손에 술잔을 든 그는 심부름꾼(houseboy)으로 시작한 자신의 인생 역정을 늘어놓는다. 미국의 독립 영화 제작자 Shirley Clarke는 1966년 12월 3일, 자신이 머물던 첼시 호텔(Hotel Chelsea) 펜트 하우스에서 제이슨 할러데이의 인생 이야기를 주제로 다큐를 찍었다. 저녁 9시에 시작된 촬영은 12시간 동안 이어졌다. 그 결과로 나온 것이 'Portrait of Jason(1967)'이다.   제이슨은 술에 취해 기분이 아주 좋아보인다. 화면 밖에서 목소리로만 들리는 셜리 클라크는 제이슨에게 질문을 던지며 그가 계속해서 이야기를 하도록 유도한다. 마치 인형극의 조종하는 사람(puppeteer)처럼 클라크는 제이슨을 자신의 뜻대로 움직이려는 것 같다. 흑인이며 동성애자이기도 한 제이슨에게 미리 준비해놓은 소품으로 작은 공연을 하도록 만들기도 한다. 소품 가방에서 꺼낸 모피 목도리를 두르고는 제이슨은 여성스럽고도 우스꽝스러운 제스처를 취하며 킬킬거린다. 제이슨이 원하는대로 술과 담배가 계속해서 제공된다. 시간이 갈수록 술에 취한 제이슨의 말소리는 알아듣기 어렵게 뭉그러진다.   러닝 타임 1시간 45분의 이 다큐 'Portrait of Jason(1967)'은 보면 볼수록 기이하다. 관객은 'Jason Holliday'라는 인물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듣도록 초대받지만, 다큐가 끝나고 나면 그가 어떤 사람인지 도무지 알 수 없게 되어버린다. 가장 큰 이유는 제이슨이 가진 뛰어난 공연자(performer)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