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나루세 미키오 여성 영화의 원형, 긴자 화장(銀座化粧, Ginza Cosmetics, 1951)

 

   "여자 나이 마흔이 되면, 이도 저도 아니게 되어버린다구. 그러니 얼른 좋은 남자 만나서 결혼해야 해."

  유키코(타나카 키누요 분)는 마흔 문턱에 접어들었다. 동생처럼 아끼는 쿄코(카가와 쿄코 분)에게 유키코는 그렇게 충고한다. 미혼모로 어린 아들 하루오를 키우고 있는 유키코는 쿄코가 자신과 같은 삶을 살지 않기 바란다. 유키코는 술집 마담으로 일하며 빠듯한 살림을 꾸려가고 있다. 비슷한 처지였던 친구 시즈에는 돈 많은 남자의 첩으로 들어앉았다. 어디 괜찮은 남자라도 있으면 마담일 그만 두고 의탁이라도 하련만, 주변에 꼬이는 이들은 죄다 글렀다. 후원자였던 후지무라는 사업이 망한 후 가끔 용돈을 얻기 위해 유키코를 찾아온다. 젊은 건달과 중년의 느물거리는 사업가는 유키코를 욕망의 대상으로 볼 뿐이다. 그런 유키코에게 친구 시즈에가 소개해준 부유한 지주의 아들 이시카와가 나타난다. 여자 나이 마흔, 유키코의 인생에 기회가 온 것일까?

  1951년이면 일본은 패전 후 이제 6년이 지났을 뿐이다. 나루세 미키오의 '긴자 화장(Ginza Cosmetics, 1951)'을 보고 있노라면, 적어도 도쿄의 거리에서 전후의 상흔을 찾기가 어렵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영화의 도입부, 하루오는 혼자 보내는 낮시간을 도심의 이곳저곳을 쏘다닌다. 하루오가 지나는 거리에는 활기가 넘친다. 유키코가 이시카와에게 안내하는 도쿄 시내는 빌딩이 공사 중이며, 번화한 상점가는 인파로 붐빈다. 유키코가 일하는 술집 '벨 아미(Bel Ami)'의 손님들은 음주와 여흥을 즐긴다. 거기에는 여종업원들과의 '외박'이라는 매춘도 슬쩍 끼워져 있다.

  나루세 미키오의 영화 속 여성들은 대개가 불운한 처지에 놓여 있다. '긴자 화장'에서 유키코는 미혼모라는 열악한 사회적 지위에 자리한다. 쿄코는 가난한 집안 살림에 어쩔 수 없이 화류계로 흘러 들었다. '돈'은 언제나 문제가 된다. 유키코는 술집 여주인으로부터 술집이 팔릴 수 있다는 말을 듣는다. 술집 운영 때문에 만난 중년의 사업가는 유키코에게 대놓고 매춘을 제안한다. 유키코는 단호하게 뿌리친다. 유키코가 그런 불쾌한 경험으로부터 단절될 수 있는 방법이 있기는 하다. 친구 시즈에는 돈 많은 남자의 첩이 됨으로써 화류계 생활을 끝냈다. 쿄코가 유키코의 과거였다면, 시즈에는 유키코가 다다를 가까운 미래의 모습인지도 모른다. 

  전쟁이 특히 여성의 삶에 가하는 엄청난 압력과 균열은 나루세 미키오의 영화에서 반복적으로 재현된다. '아내로서, 여자로서(妻として女として, 1961)'에서 긴자의 술집 마담 미호(타카미네 히데코 분)는 유부남 대학 교수 케이지로와 오랜 불륜 관계에 있다. 두 사람은 전쟁 중에 만나서 아이를 두게 되었지만, 케이지로는 아이들을 데려가 아내 케이코가 키우게 한다. 미호는 사랑도, 아이들도 품을 수 없는 그림자 같은 존재로 살아왔다. 미호는 긴자의 술집을 목숨처럼 여긴다. 그런데 술집을 소유한 케이코가 그걸 처분하려고 하자 해묵은 갈등이 폭발한다. 이 영화의 미호처럼 화류계는 전후 경제적으로 취약한 하층 계급 여성들이 쉽게 진입하는 생존의 방편이었다.

  결혼을 통해 정상적인 가족 제도의 틀에 안착하고 싶다는 유키코의 소망은 이시카와와의 만남에서 드러난다. 그러나 유키코에게 찾아온 모처럼의 기회는 아들 하루오의 갑작스런 실종으로 날아가 버린다. 행운은 젊고 아름다운 쿄코에게 돌아간다. 유키코는 자신이 애송하는 싯구처럼 하늘의 북극성이 되어 자신을 지켜줄 남자를 꿈꾸었다. 하지만 그런 남자는 이제 찾을 수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 대신에 아들 하루오가 유키코의 유일한 희망이 된다.

  영화의 마지막, 긴자로 향하는 유키코의 발걸음은 날아갈듯 가볍다. 비록 멸시받는 직업이지만, 긴자의 거리에는 그곳에 의탁한 무수한 이들의 삶이 별처럼 흐르고 있다. 나루세 미키오는 화류계 여성의 고단한 삶과 그 내밀한 갈망을 전후 도쿄의 풍경 속에 펼쳐놓는다. '긴자 화장'은 나루세 미키오가 이후에 내놓을 여성 영화의 원형(原型)처럼 느껴진다.



*사진 출처: themoviedb.org


The prototype of Naruse Mikio's women's film,

Ginza Cosmetics(1951)


June 14, 2022

 


   "When a woman is forty, she stands an ambiguous position. So, find a good man and marry him."


  Yukiko (Kinuyo Tanaka) is nearly forty. Yukiko gives this advice to Kyoko (Kagawa Kyoko), whom she cherishes like her younger sister. Yukiko, who is a single mother raising her young son Haruo. She doesn't want Kyoko to live the same life as her. She works as a bar madam. Her friend Shizue, who was in a similar situation to her, settled down as the concubine of a wealthy man.  If she found a decent man, she would quit her job. But the people around her were all pathetic. Fujimura, her former patron, occasionally visits her to get her money. A young scamp and a middle-aged impudent businessman only see Yukiko as the object of their desires. Suddenly, Ishikawa, the young and wealthy man, appears to her. At the age of 40, did Yukiko have a chance in her life?


  In 1951, only six years had passed since Japan lost the war. In 'Ginza Cosmetics (1951)', it is difficult to find post-war scars on the streets of Tokyo. At the beginning of the film, Haruo spends the daytime alone in the city elsewhere. The streets that Haruo passes through are full of vivacity. Yukiko guides Ishikawa to main street. Tokyo's downtown buildings are under construction, and the bustling shopping streets are crowded with people. The guests of Bel Ami, the bar where Yukiko works, enjoy drinking and entertainment. There is also a secret prostitution with female waitresses.


  Most of the women in Naruse Mikio's films are in an unfortunate situation. In this film, Yukiko is placed in a lower social status as a single mother. Kyoko was forced to work in the bar due to her poor family life. 'Money' is always an issue. Yukiko hears from her bar owner that the bar can be sold. She needed money. A middle-aged businessman suggested to lend money. In return, he wanted prostitution. But Yukiko resolutely refuses. This unpleasant experience makes her feel discontent. Her friend Shizue ended her bar life by becoming the concubine of a wealthy man. If Kyoko was Yukiko's past, Shizue may be Yukiko's near future. 


  The war brought tremendous pressures and rifts especially on women's lives. It is repeatedly illustrated in Naruse Mikio's films. In 'As Wife and As Woman(1961)', Ginza Madame Miho(played by Takamine Hideko), has an affair with Keijiro who is a married man. They met during the war and had a child. But he took her children and let his wife Keiko raise them. She lived as a shadow of the man. children could embrace. She regards the pub in Ginza as her life. But when Keiko, who owns the bar, tries to dispose of it, her age-old conflict explodes. Like Miho in this movie, a demimonde was a means of some women. Such women who were economically vulnerable, easily entered a demimonde after the war.


  Yukiko's wish is to settle into a normal family system through marriage. That was revealed in her meeting with Ishikawa. However, her opportunity is blown away. Her luck goes to the young and beautiful Kyoko. Yukiko dreamed of a man who would protect her like the North Star in the sky. It comes from her verse that she adored. But she realizes that she can't find such a man now. Instead, her son Haruo becomes her Yukiko's only hope.


  At the end of the film, Yukiko's steps towards Ginza are light as if flying. Although it is a despised profession, the lives of countless people of Ginza flow like stars. Naruse Mikio unfolds the hard life and secret longing of a woman in postwar Japan. 'Ginza Cosmetics' reminds of the prototype of a women's film by Mikio Naruse



*Photo source: themoviedb.org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적룡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영화, 천애명월도(天涯明月刀, The Magic Blade, 1976)

    영화의 제목이 독특하다. '천애명월도'라는 명검을 두고 벌이는 검객들의 혈투인가, 막연한 생각으로 영화를 봤다. 그런 검은 영화 속에 나오지 않는다. 대신에 이 영화를 지배하는 비장의 무기는 공작령(孔雀翎, 공작의 깃모양 무기로 막강한 화력을 지님)이다. '천애명월도(天涯明月刀, 1976)'는 '유성호접검( 流星蝴蝶劍, 1976)'을 만든 초원 감독의 작품이다.     검객 부홍설(적룡 분)은 강호의 일인자가 되겠다는 일념으로 고향을 떠나 방랑 중이다. 그는 자신과 적대 관계에 있는 연남비로부터 흑도파의 우두머리 공자우가 공작령을 차지해서 강호제패를 노린다는 말을 듣는다. 공작령을 찾아내기 위한 여정에 함께 하게 된 연남비와 부홍설, 부홍설은 공작령의 주인이자 공작산장의 우두머리 추수청에게 공작령을 얻어내는 데 성공한다. 그 과정에서 추수청이 공자우의 밀정에 의해 죽게 되고, 추수청은 딸 옥정을 부홍설에게 부탁한다. 공자우는 자신의 부하 검객들을 보내 부홍설을 죽이고 공작령을 빼앗으려 한다. 그 와중에 연남비의 생사도 알 수 없게 되고, 추옥정은 납치된다. 부홍설은 공작령을 지키고, 옥정을 구해낼 수 있을까...   이 영화의 원작은 무협 소설 작가 고룡의 동명 소설이다. 그런데 이 소설은 전작이 있다. 말하자면 시리즈물이라고 할 수 있는데, '변성랑자(邊城浪子)'가 그것으로 '부홍설'이라는 인물의 인생을 담고 있다. 그러나 영화 '천애명월도'는 부홍설에 대한 그 어떤 정보도 주지 않고 바로 연남비와의 대결에서부터 시작한다. 초원 감독은 캐릭터에 대한 묘사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 것 같다. 영화는 쉴 새 없이 이어지는 대결로 꽉 채워져 있기 때문이다. 공자우의 본거지에 부홍설이 들어가기까지 너무나 많은 자객들이 나오고, 대결이 이어진다. 말하자면 볼거리 위주의, 철저히 흥행을 노린 감독의 의도라고 할 수 있다. 지금의 관객들 시각에서

전후 일본 영화(Post-war Japan Movie, 1946-1955) 3편: 전후 일본 사회가 마주한 고통과 혼란, 미스터 푸(プーサン, Mr. Pu, 1953)

    노로는 고등학교 선생이다. 그는 과속을 하는 트럭을 피하려다 손을 다친다. 그가 받는 빠듯한 봉급으로 단칸 월세방 돈 내는 것도 힘든데 병원비까지 나가게 생겼다. 그는 학교에서 그의 봉급을 올려주길 기대한다. 하지만 깡패같은 고등학교 이사장은 노로에게 야간 고등학교 강의까지 더하라고 강권한다. 천성이 유약한 노로는 '아니오'라는 말을 차마 하지 못한다. 뭔가 억울하다는 생각이 든 노로. 그는 자신의 제자가 권유한 반정부 시위에 나가보기로 한다. 시위대는 경찰의 강경대응으로 무참히 진압되었다. 노로는 경찰서에 끌려갔다가 겨우 풀려난다. 하지만 이 일을 빌미로 이사장은 노로를 해고한다. 전후의 어려운 시절, 노로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이치카와 곤(市川崑, Kon Ichikawa) 감독의 영화 '미스터 푸(プーサン, Mr. Pu, 1953)'는 고등학교 선생 노로와 그의 주변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전후 일본 사회를 보여준다. 이 영화는 원작이 되는 만화가 있다. 만화가 요코야마 타이조(横山泰三)는 1950년부터 1953년  마이니치 신문(毎日新聞)에 4컷 만화 '미스터 푸(プーサン)'를 연재했다. 4컷 만화에 담긴 날카로운 사회비판적 메시지 때문에 만화는 연재 중단의 압력을 받았다. 이치카와 곤은 그 만화에서 영화의 주요한 소재를 차용했다. 영화  '미스터 푸(プーサン)'는 명확한 서사 대신에 다양한 등장 인물들이 처한 상황을 유기적으로 연결한다. 영화의 그러한 구성은 전후 일본 사회의 여러 면면들을 부각시킨다.    노로는 다친 손의 치료를 위해 병원에 간다. 그런데 의사는 노로의 몸을 진찰하더니 '영양실조'라면서 잘 먹어야 한다고 처방을 내린다. 젊은 의사는 환자들 대부분이 제대로 먹지 못해 건강이 좋지 않다고 말한다. 노로가 의사에게 손을 치료받고 싶다고 하자, 의사는 병원의 X-ray 기계가 고장나서 사진을 찍을 수 없다고 말한다. 이 장면은 전후

Shirley Clarke의 실패한 타자성 탐구, Portrait of Jason(1967)

  1. 이상한 나라의 Jason Holliday   한 남자가 자신을 소개한다. 자신의 이름이 Jason Holliday라고 말한 그는 본명이 Aaron Payne이라고 말하는 것을 잊지 않는다. 마일스 데이비스(Miles Davis, 유명한 재즈 연주자)와도 안다고 말하는 그는 자신이 가진 직업을 줄줄이 늘어놓는다. 그가 말한 직업들 중에는 남창(whore)도 있다. 손에 술잔을 든 그는 심부름꾼(houseboy)으로 시작한 자신의 인생 역정을 늘어놓는다. 미국의 독립 영화 제작자 Shirley Clarke는 1966년 12월 3일, 자신이 머물던 첼시 호텔(Hotel Chelsea) 펜트 하우스에서 제이슨 할러데이의 인생 이야기를 주제로 다큐를 찍었다. 저녁 9시에 시작된 촬영은 12시간 동안 이어졌다. 그 결과로 나온 것이 'Portrait of Jason(1967)'이다.   제이슨은 술에 취해 기분이 아주 좋아보인다. 화면 밖에서 목소리로만 들리는 셜리 클라크는 제이슨에게 질문을 던지며 그가 계속해서 이야기를 하도록 유도한다. 마치 인형극의 조종하는 사람(puppeteer)처럼 클라크는 제이슨을 자신의 뜻대로 움직이려는 것 같다. 흑인이며 동성애자이기도 한 제이슨에게 미리 준비해놓은 소품으로 작은 공연을 하도록 만들기도 한다. 소품 가방에서 꺼낸 모피 목도리를 두르고는 제이슨은 여성스럽고도 우스꽝스러운 제스처를 취하며 킬킬거린다. 제이슨이 원하는대로 술과 담배가 계속해서 제공된다. 시간이 갈수록 술에 취한 제이슨의 말소리는 알아듣기 어렵게 뭉그러진다.   러닝 타임 1시간 45분의 이 다큐 'Portrait of Jason(1967)'은 보면 볼수록 기이하다. 관객은 'Jason Holliday'라는 인물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듣도록 초대받지만, 다큐가 끝나고 나면 그가 어떤 사람인지 도무지 알 수 없게 되어버린다. 가장 큰 이유는 제이슨이 가진 뛰어난 공연자(performer)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