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영화와 시대적 간극, 여인 사십(女人 四十, Summer Snow, 1995)

 

  "내 생각엔 당신이 일 그만두고 아버지를 모셨으면 좋겠어."

  남자는 치매를 앓고 있는 아버지 간호를 위해 아내가 직장을 그만 두었으면 하고 바란다. 그 말에 순순히 '그래요, 여보'라고 말할 사람이 얼마나 될까? 손씨 부인(소방방 분)은 어림없는 소리라며 남편의 요구를 일축한다. 손 부인은 마흔 살 생일이 지난지 얼마 되지 않아 시어머니가 갑자기 세상을 뜨고, 그 혼란스런 와중에 시아버지는 치매 진단을 받는다. 남편은 아버지 문제라면 손을 내젓는 자신의 동생들에게는 별 말을 하지도 못하면서, 아내에게 그 일을 미루고 싶어한다. 화장지 회사에서 잔뼈 굵은 실무자로, 집에서는 남편과 대학생 아들 뒤치다꺼리, 이제는 치매 시아버지 수발까지 해야한다. 손 부인은 그 일들을 잘 해낼 수 있을까? 홍콩 출신의 허안화(
许鞍华, Ann Hui) 감독의 1995년작 '여인 사십(女人四十, Summer Snow)'은 갑작스럽게 주어진 커다란 삶의 과제와 씨름하는 중년 여성의 이야기를 담아낸다.

  오늘날에도 나이든 부모의 병수발이 자식들에게 어려운 문제라는 점은 27년전과 별반 다를 게 없다. 요새는 대부분 요양원과 요양 병원을 1차적인 선택지로 생각하고, 비용 분담이 자식들 사이의 갈등 요소가 되는 정도가 차이라고나 할까. 물론 '여인 사십'의 손 부인에게도 그 선택지가 있었고, 치매 증상이 심해진 시아버지를 어쩔 수 없이 시설에 맡긴다. 영화는 그 선택을 하기까지 손 부인이 겪는 일상의 힘듦을 마치 세밀화처럼 보여준다. 아무 데나 소변을 보고, 한밤중에 고래고래 지르는 시아버지를 어르고 달래는 일은 손 부인만이 할 수 있다. 남편도 아들도 별 도움이 안된다. 시아버지 수발도 힘든데, 직장에서는 컴퓨터를 잘 다루는 신입 여직원에게 밀려서 찬밥 신세가 되어가는 중이다. 어쩔 수 없이 주간 보호 센터에 시아버지를 보냈는데, 맘대로 밖으로 나가 길을 잃어버리는 일을 겪는다. 결국 요양 병원에서 지내게 된 시아버지는 며느리에게 집에 가고 싶다며 울먹인다.

  손 부인은 직장을 때려친다. 그 선택은 어쩔 수 없이 하게 된 것이 아니다. 함께 늙어가고 고통받는 한 인간으로서의 시아버지에 대한 연민과 안타까움, 가족의 구성원으로서 자신이 해야할 중요한 의무라고 자각했기 때문이다. 영화의 영어 제목 'Summer Snow'는 시아버지와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만난 꽃비를 시아버지가 눈이 내린다고 좋아한 장면에서 따온 것이다(히로스에 료코가 주연한 같은 제목의 일본 드라마가 하도 유명해서 이 제목으로는 영화 검색이 잘 안된다). 가족이 모두 모여서 주말 농장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데, 시아버지가 손 부인을 불러서 조용히 말한다.

  "인생이란 건 말이다, 기쁨으로 가득차 있는 거란다."

  그 부분의 영어 자막이 아마 'Life is full of joy'였을 것이다. 그 말을 하려고 감독 허안화는 손 부인의 고단한 사십을 그려냈단 말인가? 갑자기 말문이 턱하고 막히는 느낌이었다. '여인 사십'은 분명 가부장제 질서에 여성을 순응시키거나, 가족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여성이 치루어야 하는 일방적인 희생을 옹호하는 영화는 아니다. 그럼에도 영화는 손씨 부인이 내리는 결정의 배경에 자신의 소망과 욕구 대신 '가족'과 '화합'이라는 전통적 가치가 무엇보다 중요하게 작동하고 있음을 애써서 감추는 느낌을 준다. 맡은 일은 최선을 다해내는 책임감 있는 직장 여성, 좋은 아내와 엄마, 시아버지 병수발을 기꺼이 떠맡는 며느리, 이 모든 역할을 손 부인은 해낸다. 슈퍼우먼이 따로 없다. 손 부인만 그런 것이 아니다. 슬리퍼는 여자가 신겨주어야 한다고 믿는 제왕적이고 독선적인 시아버지를 가장 잘 알고 챙겼던 시어머니, 치매 걸린 성질 고약한 남편을 지극정성으로 보살피는 한 여사, 영화 속 여성 캐릭터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의무를 묵묵히 성실하게 감당한다. 그렇다고 해서 불만이 없는 것은 아니다. 위암에 걸려 살 날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알게 된 한 여사는 남편에게 그렇게 말한다.

  "저 세상에서 만나면 난 당신 아내 노릇 안해요. 남편 역을 내가 할게요."

  섬김과 보살핌의 대상으로서의 '남성'. 이 전통적 가치관은 손 부인의 윗세대가 충실히 따른 것이다. 손 부인은 현대 여성의 삶을 살아가고 있으면서도 정신적으로는 가부장제의 영향력 하에 놓인 인물이다. 그러므로 손 부인에게 사십 인생의 위기 상황에서 무엇이 최선인가를 판단하는 기준은 '가족의 안정'이다. 직장을 그만 둠으로써 남편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인생 살이에 미숙한 아들에게는 조언자로, 시아버지에게는 좋은 간병인이 되고자 한다. 이 선택은 어딘지 모르게 부자연스럽고 불편해 보인다. 그럼에도 손 부인의 결정은 시아버지의 유언과도 같은 마지막 말에 의해 보상받는다. 사랑하는 가족과 함께 하는 삶이야말로 기쁨 그 자체라는 말로 들린다.

  이 영화를 2022년에 다시 만든다면 손 부인은 어떤 선택을 할까? 동일한 선택을 한다면 이 영화를 보던 여성 관객들은 자리를 박차고 나가 버릴지도 모르겠다. 지금 시대의 손씨 부인은 자신의 직장을 그만 둘 일도 없으며, 치매 병증이 심한 시아버지는 가족과 상의하여 선택한 요양원에 보내며, 비용은 형제들 간에 공정히 분담하도록 할 것이다. 오래전 영화를 보는 일은 이렇게 시대와 가치관의 간극을 느끼게 만든다. '여인 사십'의 손씨 부인은 스스로 고달파짐으로써 가족의 문제를 떠안는 '해결사'의 면모를 보였지만, 2022년을 살아가는 어떤 손씨 부인에게는 삶의 '균형'과 책임의 '분담'이 중요한 가치이다. 허안화의 '여인 사십'은 그런 면에서 본다면, 가족주의로 그럴듯하게 포장된 구시대적이며 진부한 영화라고 할 수 있다.  


*사진 출처: hkmdb.com





Film and the Gap of the Ages, Summer Snow(1995)


July 10, 2022

 


  “I think you should quit your job and take care of my father.”


  Man wanted his wife to quit her job to care for his father who had dementia. Mrs. Son refused her husband's request. Shortly after her 40th birthday, her mother-in-law died suddenly. In the midst of the chaos, her father-in-law was diagnosed with dementia. Her husband wants her to care for his father. He did not even tell his brother for his father's problem. Aa a manager at a toilet paper company, she was well established. Also she has been dealing with her husband and her college-age son. Now she has to confront her father-in-law with dementia. Can Mrs. Son be able to do those things well? Hong Kong-born director Ann Hui (许鞍华)'s 1995 film 'Summer Snow' tells the story of a middle-aged woman who struggles with a sudden, big life task.


  Even today, elderly parents' illness is a difficult problem for their children. Most of the first consideration is nursing homes to be their primary options. Of course Mrs. Son had that option too. The film shows the daily struggles of Mrs. Son until she makes that choice. Only Mrs. Son can urinate and soothe her father-in-law, who pees everywhere and whales in the middle of the night. Neither her husband nor her son are of much help. Sametime at her workplace, she is being pushed to the side by a new female employee who is good at computers. Reluctantly, she sends her father-in-law to her day care center. But he goes out and gets lost in his way. In the end, he tells his daughter-in-law that he wants to go to her house.


  As she suffered the problem, she felt pity for her father-in-law as a human being. She became aware of her important duties. The movie's English title, 'Summer Snow', is derived from the scene where the father-in-law liked the rain that he met on the way home. The whole family gathers and enjoys the weekend on the farm, when her father-in-law calls her and speaks quietly.


  "Life is a thing, full of joy."


  To say that, did the director portray Mrs. Son's hardships? This film did not advocate for women to conform to the patriarchal order or for the one-sided sacrifice. Nevertheless, the film gives the impression that Mrs. Son's decision is made by painstakingly concealing the traditional values ​​of 'family' and 'harmony' rather than her own wishes. A working woman who does her best in her job, is willing to take care of her father-in-law. Mrs. Son does it all like Superwoman. It's not just Mrs. Son. The mother-in-law also took care of her husband who believed that women should follow men. Another woman who took great care of her poor husband fulfilled her duties. A woman tells her husband that she has stomach cancer and she has few days left to live.


  "If you meet in another world, I won't be your wife. I'll take the role of the husband."


  'Men' is an object of service and care. This traditional value has been faithfully followed by Mrs. Son's older generations. Mrs. Son is living the life of a modern woman, yet she is spiritually under the influence of the patriarchy. Therefore for Mrs. Son, the criterion for judging what is best is 'family stability'. By quitting her job, she wants to spend more time with her husband, an adviser to her immature son in her life, and a good caregiver to her father-in-law. This choice seems somehow unnatural and uncomfortable. Nevertheless, her decision to be rewarded by the final words of her father-in-law. She hears that life with her beloved family is joy itself.


  If this movie is made again in 2022, what will Mrs. Son choose? If she made the same choice, the female audience of this film might spit out their seats. In the present age, Mrs. Son never leaves her own job, and her dementia-stricken father-in-law sends her to a nursing home of her choice. Watching old movies makes you feel the gap between the times and values. Mrs. Son showed the aspect of her family's problems by struggling with herself. But Mrs. Son living in 2022, may  think of 'balance' in her life and 'sharing of responsibility'. In conclusion, this movie can be said to be an old-fashioned and banal film plausibly wrapped in familism.  




*Photo source: hkmdb.com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적룡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영화, 천애명월도(天涯明月刀, The Magic Blade, 1976)

    영화의 제목이 독특하다. '천애명월도'라는 명검을 두고 벌이는 검객들의 혈투인가, 막연한 생각으로 영화를 봤다. 그런 검은 영화 속에 나오지 않는다. 대신에 이 영화를 지배하는 비장의 무기는 공작령(孔雀翎, 공작의 깃모양 무기로 막강한 화력을 지님)이다. '천애명월도(天涯明月刀, 1976)'는 '유성호접검( 流星蝴蝶劍, 1976)'을 만든 초원 감독의 작품이다.     검객 부홍설(적룡 분)은 강호의 일인자가 되겠다는 일념으로 고향을 떠나 방랑 중이다. 그는 자신과 적대 관계에 있는 연남비로부터 흑도파의 우두머리 공자우가 공작령을 차지해서 강호제패를 노린다는 말을 듣는다. 공작령을 찾아내기 위한 여정에 함께 하게 된 연남비와 부홍설, 부홍설은 공작령의 주인이자 공작산장의 우두머리 추수청에게 공작령을 얻어내는 데 성공한다. 그 과정에서 추수청이 공자우의 밀정에 의해 죽게 되고, 추수청은 딸 옥정을 부홍설에게 부탁한다. 공자우는 자신의 부하 검객들을 보내 부홍설을 죽이고 공작령을 빼앗으려 한다. 그 와중에 연남비의 생사도 알 수 없게 되고, 추옥정은 납치된다. 부홍설은 공작령을 지키고, 옥정을 구해낼 수 있을까...   이 영화의 원작은 무협 소설 작가 고룡의 동명 소설이다. 그런데 이 소설은 전작이 있다. 말하자면 시리즈물이라고 할 수 있는데, '변성랑자(邊城浪子)'가 그것으로 '부홍설'이라는 인물의 인생을 담고 있다. 그러나 영화 '천애명월도'는 부홍설에 대한 그 어떤 정보도 주지 않고 바로 연남비와의 대결에서부터 시작한다. 초원 감독은 캐릭터에 대한 묘사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 것 같다. 영화는 쉴 새 없이 이어지는 대결로 꽉 채워져 있기 때문이다. 공자우의 본거지에 부홍설이 들어가기까지 너무나 많은 자객들이 나오고, 대결이 이어진다. 말하자면 볼거리 위주의, 철저히 흥행을 노린 감독의 의도라고 할 수 있다. 지금의 관객들 시각에서

전후 일본 영화(Post-war Japan Movie, 1946-1955) 3편: 전후 일본 사회가 마주한 고통과 혼란, 미스터 푸(プーサン, Mr. Pu, 1953)

    노로는 고등학교 선생이다. 그는 과속을 하는 트럭을 피하려다 손을 다친다. 그가 받는 빠듯한 봉급으로 단칸 월세방 돈 내는 것도 힘든데 병원비까지 나가게 생겼다. 그는 학교에서 그의 봉급을 올려주길 기대한다. 하지만 깡패같은 고등학교 이사장은 노로에게 야간 고등학교 강의까지 더하라고 강권한다. 천성이 유약한 노로는 '아니오'라는 말을 차마 하지 못한다. 뭔가 억울하다는 생각이 든 노로. 그는 자신의 제자가 권유한 반정부 시위에 나가보기로 한다. 시위대는 경찰의 강경대응으로 무참히 진압되었다. 노로는 경찰서에 끌려갔다가 겨우 풀려난다. 하지만 이 일을 빌미로 이사장은 노로를 해고한다. 전후의 어려운 시절, 노로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이치카와 곤(市川崑, Kon Ichikawa) 감독의 영화 '미스터 푸(プーサン, Mr. Pu, 1953)'는 고등학교 선생 노로와 그의 주변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전후 일본 사회를 보여준다. 이 영화는 원작이 되는 만화가 있다. 만화가 요코야마 타이조(横山泰三)는 1950년부터 1953년  마이니치 신문(毎日新聞)에 4컷 만화 '미스터 푸(プーサン)'를 연재했다. 4컷 만화에 담긴 날카로운 사회비판적 메시지 때문에 만화는 연재 중단의 압력을 받았다. 이치카와 곤은 그 만화에서 영화의 주요한 소재를 차용했다. 영화  '미스터 푸(プーサン)'는 명확한 서사 대신에 다양한 등장 인물들이 처한 상황을 유기적으로 연결한다. 영화의 그러한 구성은 전후 일본 사회의 여러 면면들을 부각시킨다.    노로는 다친 손의 치료를 위해 병원에 간다. 그런데 의사는 노로의 몸을 진찰하더니 '영양실조'라면서 잘 먹어야 한다고 처방을 내린다. 젊은 의사는 환자들 대부분이 제대로 먹지 못해 건강이 좋지 않다고 말한다. 노로가 의사에게 손을 치료받고 싶다고 하자, 의사는 병원의 X-ray 기계가 고장나서 사진을 찍을 수 없다고 말한다. 이 장면은 전후

아, 홍상수: 물안에서(In Water, 2023)

    오래전, 영화를 공부할 때의 일이다. 강의를 듣고 있는데, 어디선가 신경을 긁는듯한 소음이 계속 들려왔다. 나는 조용히 강의실 뒷문으로 나와서, 소리가 나는 곳을 찾아 나섰다. 영상원 본관 3층의 복도를 천천히 걸어가면서, 마침내 그 소리의 근원을 찾아냈다. 열린 교수 연구실 안쪽에, 희끗희끗한 머리의 한 남자가 이상한 악기를 천천히 두드리고 있었다. 홍상수였다. 그는 매우 지루한 표정을 짓고 있었다. 악기를 두들기던 그가 갑작스러운 나의 등장에 약간 당황했는지, 잠시 연주를 멈추었다. 나는 짜증스러운 표정을 지으며 발걸음을 돌렸다. 동남아시아인지, 아프리카인지 원산지를 알 수 없는 악기 소리는 내가 다시 강의실에 도착할 무렵에는 들리지 않았다.   나는 그해 가을, 홍상수가 영상원 교수직을 그만두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사실 홍상수의 강의는 영화과 학생들에게 악명이 자자했다. 거의 강의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홍상수가 영상원을 떠날 무렵에는, 자신의 영화를 찍어야 한다는 당위성과 교수직 사이에서의 줄타기가 형편없이 어그러졌다. 나는 홍상수의 그 지치고 지루했던 표정을 아직도 기억한다. 그는 결국 떠날만한 때에 떠났다. 그건 학생들에게도, 그에게도 좋은 결정이었다.     어제, 홍상수의 2023년 작 영화 '물안에서'를 보았다. 러닝타임 61분의 이 영화는 대부분의 화면이 초점이 나간 상태(ouf of focus)로 흐릿하게 나온다. 처음에는 또렷했던 화면이 인물을 제대로 알아보기 어려운 상태로 나오니, 관객은 당황할 수밖에 없다. 그래도 영화 속 인물들의 이야기를 따라가는 데에는 별 어려움이 없다. 등장인물은 세 명. 배우로 활동하던 승모는 자신의 단편 영화를 찍겠다며 섬에 왔다. 승모와 동행한 사람은 촬영을 맡은 친구 상국, 연기를 할 여배우 남희이다. 승모는 아르바이트로 어렵게 모은 돈 300만 원을 들고 왔다. 그런데 정작 그는 시나리오조차 쓰지 않았다. 상국과 남희는 승모가 찍을 영화가 어떤 것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