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리드는 스무 살이라구요."
중년의 배우 마리아(줄리엣 비노쉬 분)는 자신을 스타덤에 오르게 만든 연극의 배역 시그리드를 잊을 수 없다. 시그리드는 상사 헬레나를 유혹해서 죽음에 이르게 만드는 치명적 매력을 지닌 배역이었다. 세월이 흘러서 마리아에게 그 연극의 출연 제의가 다시 들어온다. 그러나 '시그리드'가 아닌 '헬레나'다. 그 역을 하는 것이 영 내키지 않고 싫은 마리아는 자신의 에이전시 담당자에게 도저히 못하겠다고 말한다. 그러자 그는 시그리드 역을 맡을 수 없는 마리아의 현실을 일깨워 준다.
올리비에 아사야스의 '클라우즈 오브 실스마리아(2014)'는 나이든 여배우가 직면한 현실을 그려내면서 매우 철학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다. 바로 '늙음'이다. 마리아는 시그리드 역을 이제는 할 수 없다는 것을 이성적으로는 명확히 알고 있지만, 마음으로는 받아들일 수 없다. 왜 나이듦을 '쿨하게' 인정하고 아주 현실적이고 산뜻하게 삶을 살아가지 못하느냐고, 누군가는 영화 속 마리아에게 그렇게 말할 수 있다. 그런 말을 하는 사람은 다음의 세 가지 경우에 해당할 것이다. 지금 매우 젊거나, 현자이거나, 아니면 바보이거나.
마리아가 헬레나 역을 맡고 싶어하지 않는 것은 과거의 빛나는 기억에 집착하기 때문만은 아니다. 과거에 상대역 '헬레나'를 맡았던 배우가 1년 후에 자동차 사고로 죽었다는 사실도 영 찜찜하다. 마리아는 그 배역을 맡는다는 것은 자신이 늙었으며, 배우로서도 전성기를 지났음을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어떤 식으로든 거부하려고 하지만, 매니저 발렌틴(크리스틴 스튜어트 분)은 헬레나 역이 인간적인 매력이 있다며 그 제안을 받아들이라고 한다.
아사야스는 마리아와 발렌틴이 그 연극 '말로야 스네이크'의 대본 연습하는 과정을 아주 흥미있는 연출로 보여준다. 분명히 배우와 매니저의 평범한 대본 연습인데, 헬레나와 시그리드처럼 마리아가 발렌틴에게 감정적으로 밀착되어 있으며 어쩌면 매혹되어 있다는 것을 관객이 알아차리게 만드는 것이다. 그 장면은 아사야스가 어떻게 배우가 가진 매력을 최대한으로 끌어내는지를 증명한다. 줄리엣 비노쉬가 마리아에서 헬레나로 일순간에 변모하는 놀라운 연기를 보면, 비노쉬가 얼마나 뛰어난 배우인가를 새삼 느끼게 된다. 크리스틴 스튜어트는 마리아가 가진 재능을 동경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그 그늘에서 벗어나고 싶다는 양가적인 감정을 가진 충실한 매니저 역을 아주 잘 소화해낸다. 발렌틴이 시그리드 역의 대사를 할 때, 매우 절제되었지만 결국에는 마리아를 떠날 것이라는 발렌틴의 속마음이 은연중에 드러난다. 발렌틴은 마리아에게 현실의 시그리드였던 셈이다.
아사야스가 '늙음'이란 주제를 다루는 방식은 어쩌면 다소 진부하고 뻔하기까지 하다. 나이든 배우가 젊은 날의 기억에 집착하는 것, 그리고 그것을 연극 상연이라는 하나의 사건을 두고 이야기를 끌어가는 것은 뭐 그리 새로울 것도 없다. 그런 주제를 깊이있게 다룬 작품이라면 오스카 와일드의 소설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영화 '자연의 아이들(1991)'을 보는 것이 더 나을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아사야스의 '클라우즈 오브 실스마리아'는 매우 흥미롭고 좋은 영화이다. 그것을 가능하게 만든 것은 이 영화의 '이야기'가 아니라 '배우들'이다.
마치 '배우 활용 교과서'같다는 느낌마저 주는데, 그의 '퍼스널 쇼퍼(2016)'에도 출연했던 크리스틴 스튜어트는 자신 보다 자신을 더 잘 아는 사람이 올리비에 아사야스 감독이라고 말한 바 있다. 정말 그렇다. 아사야스는 배우가 가진 장점을 그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으며, 그것을 영화 그 자체로 만들어내는 마법을 부린다. 솔직히 나는 그가 감독으로서의 작가적 역량이 있는가에는 그다지 확신하지는 못한다. 그렇지만 그가 영화 속에서 배우를 쓰는 방식은 정말로 놀랍다고 생각한다. 비노쉬와 스튜어트의 좋은 연기에 더해, 클로이 모레츠도 반짝반짝 빛이 난다. 저돌적인 젊음의 매력으로 무장한 할리우드 인기배우 '조앤'역을 연기한 모레츠는 결코 비노쉬의 노련함에 밀리지 않는다. 시그리드 역으로 연극 공연을 할 때, 대선배 마리아에게 연기 훈수까지 두는 대범함과 자신감은 마치 영화 속 조앤이 모레츠 자신인 것 같다는 착각마저 들게 만든다.
"그 시점에서 누가 헬레나한테 신경이나 써요? 이미 볼 장 다 본 불쌍한 여자인데... 아, 선배님 말고 배역이요."
마리아는 결국 조앤의 연기 훈수를 받아들인다. 비로소 마리아는 자신의 현실을 인정하게 되었던 것인지도 모른다. 이제는 열 여덟 살 때의 시그리드로 결코 돌아갈 수도 없으며, 세월의 흐름 속에 자신의 청춘과 아름다움이 사그라들었다는 것을... 말로야 계곡을 굽이쳐 끊임없이 흘러내리는 뱀 같은 구름처럼 인생이 흘러가고 있음을 마리아가 깨닫는 것이 연극 '말로야 스네이크'의 진정한 완성이자, 이 영화가 관객들에게 궁극적으로 보여주려는 목적지일 것이다.
영화 초반부에 매니저 발렌틴이 열차 안에서 태블릿 PC로 지도를 검색하는 장면이 나온다. 그 PC의 바탕 화면은 '총알이 관통한 유리창'이었다. 어쩌면 '늙음'이란, 시간과 젊음과 아름다움이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빠져나가고 있음을 어느 순간에서야 확 깨닫게 되는 사건과도 같은 것인지도 모르겠다. 비로소 돌아보게 된 인생에 그런 구멍이 나있음을 발견하는 일. 그 인생의 구멍으로 흘러내리는 모든 것들에 대해 올리비에 아사야스는 이 매력적인 영화로 관객을 성찰하게 만든다.
*영화 속에서 발렌틴의 오른쪽 팔에 문신이 새겨져 있음을 보게 된다. 크리스틴 스튜어트는 발렌틴 역의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서 진짜 문신을 새겼다(2015년 indiewire와의 인터뷰 참조). 피카소의 '게르니카' 상단에 위치한 눈동자 문양이다.
**사진 출처: theconversation.com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