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12명의 상냥한 일본인(12人の優しい日本人 , The Gentle Twelve, 1991)

 

  Sidney Lumet 감독의 '12명의 성난 사람들(12 Angry Men, 1957)'을 본 이들이라면 쉽게 눈치를 챌 수 있을 것이다. 뛰어난 유머 감각이 돋보이는 영화 '웰컴 투 미스터 맥도날드(ラヂオの時間, 1997)'의 각본을 쓴 미타니 코키는 '일본에도 배심원 제도가 있다면 어떨까' 하는 가정하에 이 영화의 시나리오를 썼다. '12명의 성난 사람들'이 미국 사법 제도의 문제점을 비판하는 강렬한 사회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면, Nakahara Shun 감독의 '12명의 상냥한 일본인(The Gentle Twelve, 1991)'은 덜 무겁고 경쾌하다. 러닝 타임이 2시간 가까이 되는데도 쉴 새 없이 쏟아지는 대사의 향연에 시간가는 줄 모른다.

  12명의 배심원들에게는 이름이 없고, 배심원 1호, 2호와 같이 번호가 부여된다. 영화는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아서 배심원장을 맡은 1호의 제안에 따라 거수로 피의자의 유무죄를 평결하게 된다. 젊은 여성 피의자는 폭력으로 이혼한 남편의 재혼 요구를 거절하는 과정에서 남편을 밀쳐서 트럭에 치여 죽게 만들었다는 살인 혐의를 받고 있다. 배심원들은 재판 과정을 모두 보았고, 이제 평결을 내려야 한다. 미모에, 기구하고 가련한 인생사를 가진 여성 피의자에게 동정심을 느낀 배심원들은 별다른 토론도 하지 않고 전원 무죄 평결에 이른다. 그렇게 배심원들이 모두 방을 나서려는 순간, 배심원 2호가 갑자기 마음을 바꾸고 유죄를 주장한다. 그때부터 치열한 토론이 시작된다.

  '12명의 상냥한 일본인'에는 토론에서 볼 수 있는 온갖 종류의 행태들이 다 나온다. 큰 소리로 우기기, 비꼬기, 사실 왜곡, 끼어들기와 거짓말, 감성에의 호소... 각각의 배심원들은 서로 다른 성격과 직업, 살아온 이력에 따라 피의자의 유죄와 무죄를 주장한다. 그 과정은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추론이나 판단에 따라 이루어지기 보다는 배심원들이 가진 개인적 편견과 경험에 기대고 있다. 이 영화를 보다 보면, 과연 사람이 중립적이고 공정하게 가치 판단을 하는 것이 가능한가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된다.

  나름의 논리와 증거를 들이대며 유죄를 강력히 주장하는 배심원 2호의 반대편에 배심원 6호가 있다. 한마디로 무지막지하게 자신의 뜻을 밀어붙이는 이 사람의 판단 근거는 자신이 살아온 삶의 경험이다. 노총각으로 살면서 연애도 못해봤는데, 피의자의 남편은 별로 잘 생기지도 못했으면서 여자들에게 빌붙어서 편하게 살던 한심한 인간이므로 죽어 마땅하다고 말한다. 그가 그렇게 울분을 터뜨리면서 피의자의 무죄를 큰소리로 주장할 때 묘한 타당성이 느껴진다. 가치 판단에서 감성이 차지하는 비중을 그는 온몸으로 보여주는 인물이다.

  "뭐랄까, 필링(feeling)이랄까..."

  토론이고 뭐고 다 귀찮고, 그냥 느낌상 그렇다고 말하는 배심원 4호도 있다. 그 어떤 합리적인 추론도 마다하며 그런 감정적 판단을 끝까지 밀어붙이는 배심원들이 여럿이다. 토론이 거듭되면서 고민하는 배심원들의 마음은 요동친다. 영화는 그렇게 최종 평결에 이르기까지 엎치락뒤치락하는 과정의 긴장감을 유지하며 나름의 유머 감각 또한 놓치지 않는다.

  이 영화의 제작년도가 1991년이니, 30년이나 묵은 영화이다. 그럼에도 '12명의 상냥한 일본인'에는 구식의 촌스런 감성이 그다지 느껴지지 않는다. 미타니 코키가 써낸 생생한 대사들은 시간의 흐름을 비껴가 있다. 평결이 이루어지는 방에서 여러 인물들이 보여주는 대립과 갈등은 다양한 인간 군상과 그 내면을 보여주기에 충분하다. 그런 이유로 일본에서는 연극으로 상연되면서 더 많은 인기를 끌었다.

  물론 장점만 갖고 있지는 않다. 이 영화 속 3명의 여성 배심원 캐릭터들에 대해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한 명은 중년 부인으로 피의자가 불쌍하다는 이유로 무죄를, 다른 한 명은 그저 수첩에다 정리만 잘 하는 맹한 노처녀, 그리고 이랬다 저랬다 줏대없이 휩쓸리는 젊은 엄마가 그들이다. 어떻게 죄다 좀 덜 떨어진 캐릭터들로 묘사된다. 그것이 단순히 여성 캐릭터들에게 부여된 우연한 특질들인지, 아니면 일본 사회에서 바라보는 여성에 대한 여러 편견의 집합체로서 묘사된 것인지 이런저런 생각을 해보게 된다. 이건 여성 캐릭터들 가운데 똑똑하고 자기 주장이 강한 인물도 있어야 한다는 뜻이 아니다. 이 영화에서 우스꽝스럽고 한심한 남성 배심원 캐릭터들도 있다. 하지만 세 명의 여성 캐릭터가 하나같이 다 그렇다면 관객의 입장에서 마냥 웃을 수만도 없다. 거기에다 재판에서 나온 아줌마의 증언을 두고 남자 배심원들이 보여주는 지독한 편견과 비아냥은 어딘지 모르게 뒤틀려 있다. 어떤 면에서 그 점이 구시대의 가치관을 보여주는지도 모르겠다. 

  이 영화의 우리말 제목은 '12명의 상냥한 일본인'과 '12명의 마음 약한 일본인'으로 통용되고 있다. 일본어 제목의 뜻대로라면 '상냥한'이 맞지만, '마음 약한'이라는 제목이 심정적으로는 더 맞지 않나 싶다. 이 영화 속의 배심원 캐릭터들은 모두 '약함(weakness)'을 지녔으며, 그것이 그들이 내리는 판단에 영향을 끼친다. 사실 그들만이 그런 약점을 가진 것이 아니다. 관객들은 자신의 내면에 자리한 약함과 함께, 평결이 이루어지는 영화 속의 그 방에서 자신은 과연 어떤 편에 설 것인가 생각해 보게 된다.


*사진 출처: asianwiki.com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적룡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영화, 천애명월도(天涯明月刀, The Magic Blade, 1976)

    영화의 제목이 독특하다. '천애명월도'라는 명검을 두고 벌이는 검객들의 혈투인가, 막연한 생각으로 영화를 봤다. 그런 검은 영화 속에 나오지 않는다. 대신에 이 영화를 지배하는 비장의 무기는 공작령(孔雀翎, 공작의 깃모양 무기로 막강한 화력을 지님)이다. '천애명월도(天涯明月刀, 1976)'는 '유성호접검( 流星蝴蝶劍, 1976)'을 만든 초원 감독의 작품이다.     검객 부홍설(적룡 분)은 강호의 일인자가 되겠다는 일념으로 고향을 떠나 방랑 중이다. 그는 자신과 적대 관계에 있는 연남비로부터 흑도파의 우두머리 공자우가 공작령을 차지해서 강호제패를 노린다는 말을 듣는다. 공작령을 찾아내기 위한 여정에 함께 하게 된 연남비와 부홍설, 부홍설은 공작령의 주인이자 공작산장의 우두머리 추수청에게 공작령을 얻어내는 데 성공한다. 그 과정에서 추수청이 공자우의 밀정에 의해 죽게 되고, 추수청은 딸 옥정을 부홍설에게 부탁한다. 공자우는 자신의 부하 검객들을 보내 부홍설을 죽이고 공작령을 빼앗으려 한다. 그 와중에 연남비의 생사도 알 수 없게 되고, 추옥정은 납치된다. 부홍설은 공작령을 지키고, 옥정을 구해낼 수 있을까...   이 영화의 원작은 무협 소설 작가 고룡의 동명 소설이다. 그런데 이 소설은 전작이 있다. 말하자면 시리즈물이라고 할 수 있는데, '변성랑자(邊城浪子)'가 그것으로 '부홍설'이라는 인물의 인생을 담고 있다. 그러나 영화 '천애명월도'는 부홍설에 대한 그 어떤 정보도 주지 않고 바로 연남비와의 대결에서부터 시작한다. 초원 감독은 캐릭터에 대한 묘사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 것 같다. 영화는 쉴 새 없이 이어지는 대결로 꽉 채워져 있기 때문이다. 공자우의 본거지에 부홍설이 들어가기까지 너무나 많은 자객들이 나오고, 대결이 이어진다. 말하자면 볼거리 위주의, 철저히 흥행을 노린 감독의 의도라고 할 수 있다. 지금의 관객들 시각에서 ...

자작시: 다래끼

  다래끼 무지근한 통증은 너와 함께 온다 나는 네가 절대로 그립지 않다 너 없이도 잘살고 있다 하지만 너의 부드러운 눈길을 기억한다 아주 약한 안약에서부터 센 안약까지 차례대로 넣어본다 나는 너를 막아야 한다 나은 것 같다가 다시 아프고 가렵다 나는 조금씩 끈기를 잃어가고 있다 너는 물기를 머금은 염화칼슘처럼 끈덕지게 내 눈가를 파고들며 묻는다 이길 수 있니? 곪아서 터지게 내버려둘 자신이 없으므로 열심히 눈을 닦아주며 온기를 불어넣는다 그대로 그렇게 잠들어 줄 수 있다면 그래, 우리는 만나지 않는 것이 좋겠어

자작시: 하이엔드(high-end)

  하이엔드(high-end) 싸구려는 항상 냄새가 나 짜고 눅진한 부패의 냄새 썩은 감자의 냄새는 오천 원짜리 티셔츠의 촉감과 비슷해 등고선(等高線) 읽는 법을 알아? 만약 모른다면 안내자를 찾는 것이 좋아 안내자의 등에 업혀 이곳에 올 수도 있지 더러운 수작, 아니 괜찮은 편법 차별하고, 배제하고, 경멸을 내쉬어 우리가 서 있는 곳 우리가 가진 것 우리들만의 공론장(公論場) 즐겁고 지루한 유희 불현듯 당신들의 밤은 오고 부러진 선인장의 살점을 씹으며 낙타가 소금 바늘귀를 천천히 바수어내는 하이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