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는 영화 'Utama(2022)'의 결말 부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015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Sumatra)섬의 시나붕(Sinabung) 화산이 폭발했다. 엄청난 화산 폭발로 많은 이들이 죽거나 다쳤다. 나는 당시에 화산 지대 주민들을 취재한 인터뷰를 기억하고 있다. 화산재로 뒤덮인 마을 뒤로 화산은 여전히 시커먼 연기를 내뿜고 있었다. 그런 마을에서 도저히 사람이 살아갈 수 없을 것 같은데도 마을 주민들은 그곳을 떠나지 않았다. 그 이유는 간단했다. 마을 주민들에게 그곳은 삶의 터전이었기 때문이다. 그들에게 화산은 마치 신과 같은 존재처럼 여겨지는듯 했다. 화산 폭발은 신의 노여움 같은 것이었다. 주민들은 신의 노여움이 풀리면 예전처럼 살아갈 수 있다고 여기는 것 같았다. 외부인의 관점에서 그러한 주민들의 모습은 좀처럼 이해하기 어렵다. 화산 폭발의 여파로 그곳의 사람들은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그곳에서 살아야만 하는 걸까? 이는 극한의 자연 환경에서 살고 있는 이들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과 연결된다. 왜 그들은 그런 곳에서 살아가고 있으며, 더 나은 삶의 터전을 찾아 떠나지 않는가? 그 질문은 볼리비아의 감독 Alejandro Loayza Grisi의 영화 'Utama(2022)' 에서도 동일하게 반복된다. 볼리비아의 거친 고원 지대, 오랫동안 라마(Llama)를 키우며 살아온 늙은 원주민 부부가 있다. 그곳에서 평화롭게 살아온 Virginio와 Sisa 부부에게 걱정거리가 생겼다. 지독한 가뭄이 이어지면서 마을에서 물을 구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Sisa는 매일 먼 곳의 강변으로 물을 길으러 간다. Virginio도 그의 라마 무리에게 물을 먹이기 위해 먼 길을 다닌다. 마을 사람들 모두 Virginio와 Sisa 부부처럼 물 때문에 힘겨운 삶을 이어가고 있다. 어느 날, 도시에 사는 손자 Clever가 부부를 찾아온다. Clever는 할아버지와...
푸른별의 구글 블로그입니다. 영화와 미디어에 대한 비평글을 올리고 있습니다. 방문하는 모든 분들에게 평화가 함께 하길 바랍니다. All text contained here within is written by the author. It cannot be used in any format without the permission of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