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제임스(Henry James)문학의 영화적 변용 1부:
The Wings of the Dove(1997), Iain Softley 감독
"밀리는 죽어가고 있어. 그리고 당신의 사랑을 간절히 원하지."
여자는 남자에게 비밀스럽게 속삭인다. 케이트와 머튼은 연인 사이이다. 현실적인 이유로 결혼을 미룬 둘은 비밀리에 약혼을 하고
주변을 속인다(영화에서는 약혼 사실이 나오지 않는다). 모든 것은 돈 때문이다. 가난한 케이트는 부유한 이모 집에서 기거하고
있는데, 이모는 케이트를 부자 귀족과 맺어주려고 한다. 머튼은 가진 것 없는 글쟁이 기자라서 이모 눈에는 들지도 않는다. 그런
케이트 앞에 미국인 상속녀 밀리가 나타난다. 피붙이 하나 없는 밀리는 죽을 병에 걸려 있다. 그런데 밀리는 케이트의 연인 머튼에게
마음을 뺏긴다. 밀리와 친구가 된 케이트는 속내가 복잡해진다. 살 날이 얼마 남지 않은 밀리와 머튼을 결혼시키고 유산을 받게
하면 어떨까? 그리고 나서 자신이 머튼과 결혼하면 되지 않은가?
과연 케이트는 악녀인가? 케이트를 사랑하는
머튼은 정직한 인물로 거짓말을 혐오한다. 그런 그에게 연인 케이트는 다른 여자에 대한 '거짓 사랑'을 강요한다. 그것도 죽어가는
여자를 상대로 유산을 얻어내라고 말이다. 밀리가 원하는 사랑을 주는 것이 나쁜 일은 아니지 않냐고 남자를 구슬린다. 남자는 연인에
대한 집착과 환멸 사이에서 갈등한다. 그리고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공모자가 된다.
헨리
제임스(1843-1916)는 독특한 이력을 가진 작가였다. 미국인으로 태어났으나 유럽을 동경했고, 결국 영국으로 이주해서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다. 살아생전에 소설과 희곡을 비롯해 많은 작품을 남겼으나 동시대에 명성을 얻지는 못했다. 그는 부유한 집안 출신으로
경제적인 어려움 없이 창작 활동을 해나갈 수 있었다. 그의 작품이 재평가되기 시작한 것은 1940년대에 이르러서 였다. 그즈음
미국 출판계에서 선집 형태로 나오기 시작하면서 헨리 제임스는 새롭게 부각되었다. 연극과 영화로도 여러 번 만들어졌다. '비둘기의
날개(The Wings of the Dove, 1902)'는 무려 9번이나 각색되었다. 1997년에 Miramax에서
제작한 이 영화도 그 가운데 하나이다.
소설을 영화로 만들 때 거치는 과정은 '압축'과 '생략'이다. 이 영화도
마찬가지다. 헨리 제임스의 문체는 부연 설명이 많고 장황한 만연체에 가깝다. 영문본을 읽다 보면 다시 이전의 문장으로 돌아가서
읽게 될 때가 많다. 영화로 만들어진 '비둘기의 날개'에서는 그런 제임스의 흔적을 기술적으로 삭제해 버렸다. 보수적인 빅토리아
시대에서 시간은 1910년으로 건너뛴다. 불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등장인물들은 내쳐졌으며, 밀리가 미국 특파원으로 온 머튼을 만나서
반했다는 소설 속 설정도 바꾸었다. 영화에서 밀리는 런던에서 처음으로 머튼을 보게 된다. 영화는 무엇보다 케이트와 머튼의
육체적 끌림에 좀 더 비중을 둔다. 점잖은 빅토리아 시대 소설을 읽었다고 생각하는 독자들은 영화의 선정성에 꽤나 놀랄 것이다. 헐리우드의 뻔한 장삿속이 불쾌하다고 느낄 수도 있다. 그렇다면 이 영화는 원작 소설이 지닌 본질을 망가뜨린 것일까?
러닝타임 1시간 42분이 정말이지 순식간에 지나가 버린다.
1910년대를 충실히 재현한 세트와 의상, 베니스에서 찍은 로케이션 장면들은 눈을 뗄 수가 없다. 늘 관광객으로 미어터지는
베니스에서 어떻게 인파를 통제하고 영화를 찍었는지 내내 궁금해질 정도이다. 영화 '비둘기의 날개'는 헨리 제임스의 소설에
생기와 광채를 부여한다. 무엇보다 케이트를 연기한 헬레나 본햄 카터의 연기가 매혹적이다. 소설 속에서 케이트는 지적이고 아름다운
아가씨로 묘사되는데, 카터는 존재 그 자체로 관객을 사로잡는다.
부에 대한 거칠고 들끓는 욕망으로 연인 머튼을
자신의 계획에 동조하게 만드는 케이트. 꽤나 주도면밀하고 냉정한 것처럼 보이지만, 자신의 남자를 다른 여자에게 밀어내는 속내가
편할 리가 없다. 머튼이 진짜 밀리를 사랑할까봐 두려워진 케이트는 흔들린다. 밀리의 재산을 노리고 결혼을 원하는 마크 경을 부추겨
머튼과 자신의 관계를 밀리에게 알리도록 한 것이다. 마침내 진실을 알게 된 밀리. 머튼의 사랑으로 잠시나마 행복을 느꼈던 밀리는
심한 충격을 받는다. 그럼에도 밀리는 죽음을 앞두고 자신의 재산을 머튼과 케이트에게 남긴다.
"우린 결코 예전으로 돌아갈 수 없어!
(We shall never be again as we were!)"
원하는 돈을 얻게 된 케이트는 행복했을까? 소설은 케이트가 머튼을 향해 외치는 그 말과 함께 끝난다. 세상물정 모르는, 그저
순전하게 빛나는 한 마리 비둘기로 묘사되는 밀리는 자신이 남긴 돈이 두 연인에게 결코 축복이 될 수 없음을 간파했는지도 모른다.
그리하여 밀리는 사랑을, 머튼은 평생 간직할 아픈 추억을, 케이트는 돈을 얻었다. 헨리 제임스가 그려낸 이 서늘한 사랑의 초상에서는 깊은
슬픔이 베어져 나온다.
*사진 출처: themoviedb.org
**헨리 제임스 문학의 영화적 변용 3부
자아의 각성과 성장, The Heiress(1949)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