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폭력과 고독의 서사, Walter Hill 감독의 영화 세계 2부

 

Hard Times(1975)
The Driver(1978)
The Warriors(1979)   
48 Hrs.(1982)
Last Man Standing(1996)



3. 여성: 월터 힐 영화의 하위 주체(subaltern)


  앞의 글에서 월터 힐 영화 속 남성 캐릭터들이 주류 사회에서 소외된, 이른바 '외로운 늑대'임을 언급했다. 그들은 타자와 관계를 맺는 것에 별 다른 관심이 없거나, 그것을 갈구하더라도 결국 그 소망은 좌절된다. 그보다 더 안좋은 경우는 타자를 학대하거나 죽음에 이르게 만드는 것이다. 월터 힐의 영화들에서 특히 여성 캐릭터들이 일관되게 열등하고 부수적인 위치에 놓여있음을 보게 된다. 영화 속 남성 캐릭터들은 주류 사회에서 밀려난 주변부 인물이지만 그럼에도 여성에 대해서는 지배적 위치를 점하고 있다.

  '48시간'에서 형사 잭(닉 놀테 분)의 여자 친구는 잭과 안정적 관계가 되기를 소망한다. 하지만 잭은 그러한 요구를 회피한다. 여자 친구는 잭의 직업이 얼마나 위험한지 잘 알지 못하며, 전화로 잭에게 투정이나 부릴 뿐이다. 'The Warriors'에서 지역 갱단 리더의 연인인 머시는 워리어스 갱단의 스완에게 마음을 뺏긴다. 머시는 스완의 애정을 갈망하지만, 스완은 그런 머시를 조심스럽게 밀어낸다. 스완에게 중요한 것은 생존이지 사랑이 아니다. 'The Driver'에서 이자벨 아자니가 연기한 '플레이어'는 좀 예외적인 경우이다. '드라이버'와 약간의 인간적 교감을 나누기는 하지만, 둘 사이에는 명백한 거리감이 존재한다. 플레이어가 드라이버에게 감정적으로 종속되지 않는다는 점은 중요하다. 그것이 플레이어를 드라이버의 조력자이면서 동등한 사업 파트너로 존재할 수 있게 해준다.

  하지만 월터 힐의 영화에서 여성은 본질적으로 남성과 대등한 위치에 설 수 없다. 'The Driver'에서 드라이버에게 일감을 소개해주는 커넥션(The Connection) 역의 여성은 거친 남성의 세계에서 살아남지 못한다. 커넥션이 살해당하는 방식은 꽤 충격적이다. 살인범은 베개로 얼굴을 누르고 총을 쏜다. 여성의 얼굴은 지워지고, 목소리는 제거된다. 그것은 역설적으로 말을 할 수 없는 존재로서만 여성의 생존이 보장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라스트 맨 스탠딩'에서 악당 도일이 집착하는 멕시코 여성 펠리나는 영어를 하지 못한다. 이 여자가 유일하게 말하고 믿는 대상은 '신'이다. 결국 펠리나는 스미스에 의해 구출되어 목숨을 건진다. 펠리나와는 달리 도일의 정부(情婦)로 스미스의 유혹에 넘어간 루시는 도일에 의해 귀가 잘린다. 자신의 일, 욕망, 목소리를 지닌 여성들은 남성들에게 위협의 대상이 된다. 그러므로 안전을 위해 제거되어야만 한다.

  여기에 덧붙여 '48시간'의 여성 캐릭터들에게 투사되는 관음증적 욕망은 매우 노골적이다. 성인 전용 클럽에서 무대 위 반라의 여성은 선정적인 춤을 춘다. 형사 잭은 살인범을 잡기 위해 감옥에서 범인의 동료 레지(에디 머피 분)를 잠시 빼내온다. 함께 임무를 완수한 레지가 감옥으로 다시 돌아가기 전에, 돈을 줘서 레지가 원하는 대로 매춘부와 보내게 해준다. 그것은 인간미 넘치는 잭의 배려인가? 그도 그럴 것이 잭과 레지 사이에는 48시간 동안의 특수 임무 동안 기묘한 동지 의식이 생겼다. 미국 사회에서 하위 주체라고 할 수 있는 흑인 죄수 캐릭터가 결국은 백인 경찰과 연대하고 유대감을 쌓는 것. 그 또한 남성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이 영화는 크게 흥행에 성공함으로써 월터 힐에게 감독으로서의 활로를 열어주었다.


 
4. 긴 여정의 시작, Red Harvest

  '라스트 맨 스탠딩'이 '요짐보'의 금주법 시대 버전임은 이미 기술한 바 있다. 그렇다면 '요짐보'는 구로사와 아키라의 독자적 창작물인가? 그는 자신의 영화가 1942년작 필름 느와르 'The Glass Key(1942)'에서 많은 아이디어를 가져왔다고 밝혔다. 대실 해밋(Dashiell Hammett)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이 영화는 갱단과 정치인이 얽힌 복마전과 같은 도시의 어둠을 그린다. 주인공 에드는 뒷골목 건달로 예기치 못한 살인 사건에 휘말린다. 그는 살인 사건의 해결을 위해 고군분투한다. 그런데 이 영화보다 '요짐보'의 원형을 제공하는 대실 해밋의 소설은 따로 있다. '붉은 수확(Red Harvest)', 1929년에 해밋이 발표한 첫 탐정소설이었다. 매우 건조하고 명료한 문체를 특징으로 하는 하드보일드(Hardboiled) 스타일이 무엇인지 이 소설을 보면 알 수 있다.

  '나는 부엌으로 가서 작업(지문을 지우는 일)을 반복했다. 죽은 여자의 옆에 조심스럽게 무릎을 구부리고 손수건을 꺼냈다. 그리고 얼음 송곳에 내 지문에 조금도 남아있지 않도록 꼼꼼히 닦아냈다. 유리잔들, 술병들, 방 안의 모든 문들, 전등 스위치, 내 손이 닿은 가구 전부, 어쩌면 닿았을 지도 모르는 모든 물건들에 대해서도 같은 일을 했다. 그런 다음에 손을 닦았다. 내 옷에 혹시 핏자국이 남아있지 않은지 살펴 보았다. 그 어떤 내 소지품도 그곳에 남아있으면 안되었다. 나는 현관문 앞에 섰다. 문을 연 다음 안쪽 손잡이를 닦고, 바깥쪽도 그렇게 했다. 마침내 나는 그 방에서 떠났다.' Red Harvest, 21장  
 
  In the dining room again, I knelt beside the dead girl and used my handkerchief to wipe the ice pick handle clean of any prints my fingers had left on it. I did the same to glasses, bottles, doors, light buttons, and the pieces of furniture I had touched, or was likely to have touched. Then I washed my hands, examined my clothes for blood, made sure I was leaving none of my property behind, and went to the front door. I opened it, wiped the inner knob, closed it behind me, wiped the outer knob, and went away.

  소설의 주인공은 콘티넨탈 탐정 사무소의 요원 Op(operative, 사립 탐정을 의미하는 속어), 그는 이름이 없는 인물로 나온다. 'Personville'이라는 도시에 의뢰인을 만나기 위해서 온 그는 도착하자마자 자신의 의뢰인 도널드가 살해당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도널드의 부친 엘리후는 유력한 거물로 도시에 큰 영향력을 갖고 있는 인물이다. 엘리후는 Op에게 도시를 장악한 갱단들을 쓸어버릴 것을 요구하며 사건 해결을 일임한다. 퍼슨빌의 사람들은 자신들의 도시를 'Poisonville'로 부른다. 폭력과 범죄가 공기처럼 스며든 악의 도시, 오직 혼자만의 힘으로 Op는 더러운 도시를 청소할 수 있을까?

  '붉은 수확'에서 Op는 악인들과 대적하는 동안 그들과 같은 괴물이 되어간다. 거짓말, 협박, 사기. 그는 도시의 악덕을 체화하고 그 공기를 들이키며 포이즌빌의 사람이 되어간다. 갱단들 사이를 이간질시키고, 부패한 경찰로 하여금 그들을 치게 만든다. 계속해서 시체가 쌓이는 동안 Op는 자신의 손에 피 한 방울 묻히지 않는다. 그는 그 죽음들에 일말의 부채의식도 느끼지 않는다. 심지어 퍼슨빌에서 유일하게 마음을 터놓고 지낸 정보원이며 조력자인 디나가 살해당했을 때에도 동요하지 않는다.

  잠에서 깨어난 그가 디나의 시신을 발견한 후 한 일은 현장에서 자신의 흔적을 없애는 것이었다. 대실 해미트가 묘사한 그 부분의 문장들을 한 번 보라. 마치 칼로 잘라낸 것처럼 군더더기도 없고, 어떤 감정도 느껴지지 않는다. 선과 악, 그 어느 편에 속하지 않는 회색지대에서 배회하는 '붉은 수확'의 Op는 냉정한 관찰자의 시점을 유지한다. 대실 해미트가 창조한 이 인물이야말로 이후 등장한 '고독한 늑대'의 원형(archetype)이 되었다.    

  '붉은 수확'의 Op는 영화 'The Glass Key'의 에드, 그리고 '요짐보'의 산주로가 된다. 그리고 구로사와 아키라의 영화에서 영감을 받은 월터 힐은 자신만의 방식으로 인물을 재창조했다. 'Hard Times'의 채니에서부터 '라스트 맨 스탠딩'의 스미스까지, 힐이 만든 캐릭터들에는 모두 컨티넨털 탐정 사무소 요원 Op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다시, 이 글의 시작을 열었던 영화 '라스트 맨 스탠딩'으로 돌아간다. 이 영화는 처참한 흥행 실패를 기록했다. 이미 조금씩 무너지고 있었던 월터 힐의 경력은 급격한 내리막길에 접어든다. 이후 그가 찍은 영화들은 혹평을 받으며 관객들에게도 외면당했다. 말 그대로 '죄다 말아먹었다'. 나는 이 글을 쓰기 위해 '라스트 맨 스탠딩'을 두 번 보았다. 분명 좋은 영화는 아니었다. 하지만 생각할 거리가 있었다. 왜 이 영화는 망했는가? 때로 어떤 실패한 영화는 그 원인을 복기하기 위해 다시 볼 필요가 있다.

  모든 것이 너무나도 과했다. 영화가 관객에게 매혹을 선사하는 지점은 현실을 떠올리게 만드는 그럴듯한 핍진성(逼眞性)이 생겨날 때이다. 그런데 '라스트 맨 스탠딩'은 그 지점을 넘어선다. 과도한 폭력, 과도한 클리셰(cliche), 심지어 음악과 사운드 마저도 과도하게 느껴진다. 모든 것이 비현실적이며, 관객은 곧 이 영화의 모든 것이 가짜라는 사실과 직면한다. 물론 우리가 보는 영화는 재현된 가공의 현실일 뿐이다. 그것이 진짜 현실이 아님에도, 관객은 언제나 진짜라고 믿고 싶어 한다. 월터 힐의 이 영화는 그 믿음을 철저히 배반한다.

  나에게 '라스트 맨 스탠딩'은 마치 잘못 탄 기차처럼 여겨졌다. 때로 영화를 본다는 것은 여행을 떠나는 것과 같다고 느낀다. 엉뚱한 목적지에 내려서 풍경을 바라보는 일도 그렇게 나쁘지만은 않다. 그곳에서 대실 해밋의 '붉은 수확'을 발견했고, 월터 힐이 자신의 영화 여정을 시작한 곳이 어디인가를 알 수 있었다. 우리는 그의 여정을 복기하면서 비슷한 길을 걸어간 다른 감독들도 알게 된다. 홍콩 느와르를 이끌었던 오우삼 영화의 미학은 월터 힐과 닮아있다. 세르지오 레오네, 마틴 스콜세즈, 스티븐 스필버그, 코엔 형제, 그리고 타란티노까지 그들은 하나의 강에서 흘러나온 지류들이다. 월터 힐은 자신만의 감각으로 폭력과 고독의 서사를 써내려 갔다. 그의 영화적 지류를 탐험해 보는 것도 괜찮은 선택이다. 


*사진 출처: en.wikipedia.org    'Red Harvest(1929)' 초판본 표지



**월터 힐의 영화 'The Driver(1978)' 리뷰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1/1970.html


***다큐멘터리 'Mifune: The Last Samurai(2015)'는 영화 'Yojimbo(1961)'의 배우 미후네 토시로의 영화 인생을 돌아본다. 일본 영화사에 관심이 있는 이들이라면 보는 것을 추천한다. 이 다큐는 documentarymania.com에서 무료로 볼 수 있다. 영어 자막이 제공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적룡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영화, 천애명월도(天涯明月刀, The Magic Blade, 1976)

    영화의 제목이 독특하다. '천애명월도'라는 명검을 두고 벌이는 검객들의 혈투인가, 막연한 생각으로 영화를 봤다. 그런 검은 영화 속에 나오지 않는다. 대신에 이 영화를 지배하는 비장의 무기는 공작령(孔雀翎, 공작의 깃모양 무기로 막강한 화력을 지님)이다. '천애명월도(天涯明月刀, 1976)'는 '유성호접검( 流星蝴蝶劍, 1976)'을 만든 초원 감독의 작품이다.     검객 부홍설(적룡 분)은 강호의 일인자가 되겠다는 일념으로 고향을 떠나 방랑 중이다. 그는 자신과 적대 관계에 있는 연남비로부터 흑도파의 우두머리 공자우가 공작령을 차지해서 강호제패를 노린다는 말을 듣는다. 공작령을 찾아내기 위한 여정에 함께 하게 된 연남비와 부홍설, 부홍설은 공작령의 주인이자 공작산장의 우두머리 추수청에게 공작령을 얻어내는 데 성공한다. 그 과정에서 추수청이 공자우의 밀정에 의해 죽게 되고, 추수청은 딸 옥정을 부홍설에게 부탁한다. 공자우는 자신의 부하 검객들을 보내 부홍설을 죽이고 공작령을 빼앗으려 한다. 그 와중에 연남비의 생사도 알 수 없게 되고, 추옥정은 납치된다. 부홍설은 공작령을 지키고, 옥정을 구해낼 수 있을까...   이 영화의 원작은 무협 소설 작가 고룡의 동명 소설이다. 그런데 이 소설은 전작이 있다. 말하자면 시리즈물이라고 할 수 있는데, '변성랑자(邊城浪子)'가 그것으로 '부홍설'이라는 인물의 인생을 담고 있다. 그러나 영화 '천애명월도'는 부홍설에 대한 그 어떤 정보도 주지 않고 바로 연남비와의 대결에서부터 시작한다. 초원 감독은 캐릭터에 대한 묘사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 것 같다. 영화는 쉴 새 없이 이어지는 대결로 꽉 채워져 있기 때문이다. 공자우의 본거지에 부홍설이 들어가기까지 너무나 많은 자객들이 나오고, 대결이 이어진다. 말하자면 볼거리 위주의, 철저히 흥행을 노린 감독의 의도라고 할 수 있다. 지금의 관객들 시각에서

전후 일본 영화(Post-war Japan Movie, 1946-1955) 3편: 전후 일본 사회가 마주한 고통과 혼란, 미스터 푸(プーサン, Mr. Pu, 1953)

    노로는 고등학교 선생이다. 그는 과속을 하는 트럭을 피하려다 손을 다친다. 그가 받는 빠듯한 봉급으로 단칸 월세방 돈 내는 것도 힘든데 병원비까지 나가게 생겼다. 그는 학교에서 그의 봉급을 올려주길 기대한다. 하지만 깡패같은 고등학교 이사장은 노로에게 야간 고등학교 강의까지 더하라고 강권한다. 천성이 유약한 노로는 '아니오'라는 말을 차마 하지 못한다. 뭔가 억울하다는 생각이 든 노로. 그는 자신의 제자가 권유한 반정부 시위에 나가보기로 한다. 시위대는 경찰의 강경대응으로 무참히 진압되었다. 노로는 경찰서에 끌려갔다가 겨우 풀려난다. 하지만 이 일을 빌미로 이사장은 노로를 해고한다. 전후의 어려운 시절, 노로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이치카와 곤(市川崑, Kon Ichikawa) 감독의 영화 '미스터 푸(プーサン, Mr. Pu, 1953)'는 고등학교 선생 노로와 그의 주변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전후 일본 사회를 보여준다. 이 영화는 원작이 되는 만화가 있다. 만화가 요코야마 타이조(横山泰三)는 1950년부터 1953년  마이니치 신문(毎日新聞)에 4컷 만화 '미스터 푸(プーサン)'를 연재했다. 4컷 만화에 담긴 날카로운 사회비판적 메시지 때문에 만화는 연재 중단의 압력을 받았다. 이치카와 곤은 그 만화에서 영화의 주요한 소재를 차용했다. 영화  '미스터 푸(プーサン)'는 명확한 서사 대신에 다양한 등장 인물들이 처한 상황을 유기적으로 연결한다. 영화의 그러한 구성은 전후 일본 사회의 여러 면면들을 부각시킨다.    노로는 다친 손의 치료를 위해 병원에 간다. 그런데 의사는 노로의 몸을 진찰하더니 '영양실조'라면서 잘 먹어야 한다고 처방을 내린다. 젊은 의사는 환자들 대부분이 제대로 먹지 못해 건강이 좋지 않다고 말한다. 노로가 의사에게 손을 치료받고 싶다고 하자, 의사는 병원의 X-ray 기계가 고장나서 사진을 찍을 수 없다고 말한다. 이 장면은 전후

Shirley Clarke의 실패한 타자성 탐구, Portrait of Jason(1967)

  1. 이상한 나라의 Jason Holliday   한 남자가 자신을 소개한다. 자신의 이름이 Jason Holliday라고 말한 그는 본명이 Aaron Payne이라고 말하는 것을 잊지 않는다. 마일스 데이비스(Miles Davis, 유명한 재즈 연주자)와도 안다고 말하는 그는 자신이 가진 직업을 줄줄이 늘어놓는다. 그가 말한 직업들 중에는 남창(whore)도 있다. 손에 술잔을 든 그는 심부름꾼(houseboy)으로 시작한 자신의 인생 역정을 늘어놓는다. 미국의 독립 영화 제작자 Shirley Clarke는 1966년 12월 3일, 자신이 머물던 첼시 호텔(Hotel Chelsea) 펜트 하우스에서 제이슨 할러데이의 인생 이야기를 주제로 다큐를 찍었다. 저녁 9시에 시작된 촬영은 12시간 동안 이어졌다. 그 결과로 나온 것이 'Portrait of Jason(1967)'이다.   제이슨은 술에 취해 기분이 아주 좋아보인다. 화면 밖에서 목소리로만 들리는 셜리 클라크는 제이슨에게 질문을 던지며 그가 계속해서 이야기를 하도록 유도한다. 마치 인형극의 조종하는 사람(puppeteer)처럼 클라크는 제이슨을 자신의 뜻대로 움직이려는 것 같다. 흑인이며 동성애자이기도 한 제이슨에게 미리 준비해놓은 소품으로 작은 공연을 하도록 만들기도 한다. 소품 가방에서 꺼낸 모피 목도리를 두르고는 제이슨은 여성스럽고도 우스꽝스러운 제스처를 취하며 킬킬거린다. 제이슨이 원하는대로 술과 담배가 계속해서 제공된다. 시간이 갈수록 술에 취한 제이슨의 말소리는 알아듣기 어렵게 뭉그러진다.   러닝 타임 1시간 45분의 이 다큐 'Portrait of Jason(1967)'은 보면 볼수록 기이하다. 관객은 'Jason Holliday'라는 인물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듣도록 초대받지만, 다큐가 끝나고 나면 그가 어떤 사람인지 도무지 알 수 없게 되어버린다. 가장 큰 이유는 제이슨이 가진 뛰어난 공연자(performer)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