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생존자들과 포식자들: Kramer vs. Kramer(1979), Hilary And Jackie(1998), Amy(2015)

 

  자클린 뒤 프레(Jacqeline du Pré)라는 첼리스트가 있었다. 천재적인 재능을 가지고 태어난 이 놀라운 첼리스트는 어려서부터 두각을 나타내었다. 열일곱 살 때 BBC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협연한 엘가의 첼로 협주곡은 그야말로 전설이 되었다. 적어도 이 협주곡 만큼은 자클린의 연주를 뛰어넘는 음반을 꼽기가 어렵다. 그렇게 자신의 경력을 눈부시게 쌓아가던 그에게 이십대 후반, 다발성 경화증이라는 불치병이 찾아온다. 삼십대 초반의 은퇴, 그 이후로 자클린은 첼로를 다시는 연주할 수 없었다. 육체적인 질병과 함께 정신적으로도 무너져 내렸다. 그리고 42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 그녀의 외로움과 고통을 나눌만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

  남편이 있기는 했다. 그 유명한 피아니스트 겸 지휘자 다니엘 바렌보임과 21살 때 결혼했다. 유대인이었던 남편을 따라 개종까지 했다. 야심에 찬 바렌보임은 자클린과 함께 엄청난 연주일정을 소화해가며 자신의 경력을 쌓아갔다. 자클린의 팬들 가운데에는 바렌보임의 자클린에 대한 그런 혹사가 발병의 원인을 제공했다고 비난하기도 한다. 어쨌든 명성에 굶주린 늑대같은 이 남자는 자클린이 병으로 첼로를 하지 못하게 되자 그야말로 '헌신짝'처럼 버린다. 이혼을 요구했지만 자클린은 들어주지 않았고, 그래서 러시아 피아니스트와 살림을 차린 후 아들 둘까지 낳았다. 그러는 동안 클래식 음악계에서 바렌보임의 위상은 더 커져갔다. 자클린의 죽음 이후 어느 정도의 비난을 받기는 했어도, 그의 명성을 위협할 정도는 아니었다.

  영화 '힐러리와 재키(1998)'는 그런 자클린의 생애를 담았다. 이 영화가 나오자 바렌보임은 자신이 죽을 때까지 세상 사람들이 기다려 줄 수 없는 거냐고 짜증 섞인 반응을 내놓았다. 이 영화도 진실을 온전히 담았다고 보기는 어렵다. 언니 힐러리와 그 남편의 회고록을 기반으로 만든 이 영화에서 힐러리 남편을 자클린이 유혹한 것으로 나오지만, 사실은 정신적으로 불안한 상태의 자클린을 유린한 것이라는 조카의 증언이 나중에 나왔다. 자클린은 이래저래 철저하게 고독하고 불행한 삶을 살았던 여성 예술가였다.

  영국의 가수 에이미 와인하우스의 짧았던 삶을 담은 다큐 '에이미(2015)'에도 그러한 비극이 또 다른 방식으로 재현된다. 눈부신 재능을 가진 싱어송라이터였던 에이미는 블레이크라는 남자를 만나게 되면서 삶이 망가지기 시작한다. '나쁜 남자'의 전형적 표본 같은 블레이크는 에이미를 술과 약물의 세계로 안내한다. 사랑에 목말랐던 에이미는 야수같았던 남자에게 정신적으로 예속되어 온전한 판단능력을 상실한 채 중독자의 길을 걷는다. 개기름 좔좔 흐르는 얼굴로 다큐의 인터뷰에 나온 뻔뻔한 블레이크를 보고 있노라면, 그 면상을 한대 후려치고 싶은 충동마저 느끼게 만든다. 블레이크는 에이미 사후에도 에이미의 사생활을 까발리며 돈벌이로 삼기도 했다.

  에이미 와인하우스의 'Rehab'을 들을 때마다, 저 노래 만들 시간에 재활원에 갔어야 했는데, 한탄을 하게 된다. 그걸 못하게 한 것은 에이미의 아버지였다. 아버지 또한 블레이크와 비슷한 부류의, 에이미에게 '빨대' 꽂고 사는 더럽게도 한심한 인간이었다. 이 다큐는 그런 '포식자들' 사이에서 상처받고 고통받다가 결국은 이른 나이에 생을 마감한 한 여성 가수의 이야기인 셈이다.

  1979년에 나온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라는 영화가 있다. 메릴 스트립, 더스틴 호프만이 나온 이 영화는 다른 의미로 '미투(Me Too)'운동에 소환되었다. 애슐리 저드의 폭로와 소송으로 시작된 하비 와인스틴의 성범죄는 헐리우드 일각에서 와인스틴과 친분관계가 있는 유력 인사들의 침묵과 방조 때문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거기에 메릴 스트립도 언급되었는데, 와인스틴과 친했고 영화계에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여배우로서 그런 상황을 모를 리 없다고 맹공격을 받았다. 메릴 스트립은 그 사실을 완곡히 부인했다. 그 과정에서 메릴 스트립은 과거 일화를 털어놓으며 자신을 변호한다. 영화 촬영 당시 더스틴 호프만에게 뺨을 맞은 일화를 공개한 것이다.

  그 장면은 명백히 대본에 없는 장면이었다. 이 영화는 아내의 갑작스러운 이혼 요구에 혼란과 고통에 빠진 남편의 육아, 법정 투쟁기를 다루고 있다. 메릴 스트립은 아내 역할을 맡았는데, 집을 떠나는 장면에서 갑자기 더스틴 호프만이 뺨을 때렸다고 한다. 감독과 영화 스텝들 모두가 놀랐고, 감독은 이 일 때문에 메릴 스트립이 고소를 하거나 촬영을 중단하지 않을까 걱정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대범한 여배우는 프로페셔널한 자세로 영화를 끝까지 잘 찍었다. 더스틴 호프만에게 나중에 사과를 받기는 했지만, 메릴 스트립에게 이 사건은 결코 잊을 수 없는 일이었다.

  더스틴 호프만이 메릴 스트립의 뺨을 때린 데 대한 변명은 이러하다. 배역에 대한 사실감 있는 연기를 끌어내기 위해서였고, 자신은 당시 이혼 소송 중인 부인에 대한 악감정을 메릴에게 느꼈다는 것이다. 메릴 스트립은 영화의 식당 장면에서도 호프만의 폭력을 경험했는데, 식당 벽에다 유리잔을 내던져 버려서 공포감을 유발시켰다고 언급했다. 그 역시 대본에 없는 일이었다. 이 모든 것이 영화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에서 크레이머 부인의 놀랍도록 차가운 적의로 나타난다. 나는 오래전에 그 영화를 보면서, 도대체 메릴 스트립은 왜 저렇게 더스틴 호프만이 연기한 남편에게 무섭도록 적대적일까 의문을 가졌었다. 그 의문은 몇십 년이 지나서야 풀렸다. 더스틴 호프만의 그런 '끔찍한' 행동은 영화에서 엄청난 적개심을 보여주는 데에 도움이 되었지만, 그런 것이 없었어도 자신은 잘 해낼 수 있었다고 스트립은 회고했다.

  메릴 스트립은 그 영화를 찍을 당시 경력이 별로 없는 완전 초짜 배우가 아니었다. 브로드웨이 연극계에서의 나름대로의 경력도 있었고, 연기력도 검증된 배우로서 신인이기는 했지만 뺨 맞을 정도로 무시당할 수준이 아니었다. 그런데도 호프만은 아무렇지 않게 상대 여배우의 싸다구를 '날려버린다'. 아마도 '너 정도는 별거 아니니까, 앞으로 조심해서 잘 해라', 같은 기선 제압의 성격이 강했을 것이다. 식당 장면에서 물컵 내던진 일도 그 연장선상에서 볼 수 있다.

  메릴 스트립은 그 이야기를 2017년이 되어서야 공개했다. 자신 또한 헐리우드에서 영화 경력을 쌓아오는 동안 오만 말못할 부당함과 어려움을 겪었음을 미투에 힘입어 말하는 것이기도 했고, 후배 여배우들에게 아무런 도움도 주지 못했다는 비난에 스스로를 변호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그 일화를 흘렸을 수도 있다. 어쨌든 그런 일화를 공개하는 메릴 스트립의 속내는 이런 것일지도 모른다.

  "너희들, 내가 어떻게 이 영화판에서 살아남았는지 알기나 하냐? 나 신인 시절엔 아무 이유없이 연기 잘하라며 뺨을 맞기도 했어. 오만 더러운 꼴 다 봤지. 너희들 겪은 어려움도 알겠는데, 내가 경험한 일들에 비하면 새발의 피 같은 거지."

  생존자(survivor). 메릴 스트립은 그런 어려움을 겪으면서 결국 살아남았고, 자신의 배우 경력도 지켜냈다. 대체 당신은 다른 후배 여배우들 안돕고 뭐했느냐고 메릴 스트립이 비난을 받는 것은 내 생각에 그다지 정당하지 못하다. 그런 비난을 하려면 와인스틴의 절친 타란티노에게도 공평히 주어져야 한다. 타란티노는 이미 오래전에 알고 있었으면서도, 자신의 영화 작업을 와인스틴과 계속 이어왔다. 심지어 한때 연인 사이였던 미라 소르비노가 와인스틴에게 성추행을 당했다고 알려줬는데도, 타란티노는 그것을 무시했다. 모두가 그저 '왕의 부하들'이었을 뿐이다.

  이런 무수한 이야기들을 듣다 보면, 우리를 감동시키는 예술을 만들어 내는 세계가 마치 정글과도 같다는 생각을 들게 만든다. 그 속에는 무지막지한 포식자들이 있고, 그 아래에서 숨죽이며 겨우 생존을 이어가거나, 더러는 소리없이 사라지는 생명도 있다. 물론 뛰어난 생존력으로 포식자를 위협하는 존재가 되는 이들도 있다. 그들은 자신이 겪었던 공포와 위협의 순간들을 잊지 않는다. 그리고 이제는 그 정글을 자유롭게 탐험하며 포식자들과 공존하고 있다. 어쩌면 예술 작품이란, 결국 그 정글 속에서 일어나는 여러 투쟁들의 결과물인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살아남는다는 것, 그것이 가장 중요하다. 살아남는 사람은 그 정글의 이야기를 글로 쓸 수도, 노래를 부를 수도, 연기로 보여줄 수 있다. 생존자가 승리자가 되는 순간이다. 

 

*위로부터 차례로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 '힐러리와 재키', '에이미'

 포스터 출처:IMDb.com



Survivors and Predators: Kramer vs. Kramer (1979), Hilary And Jackie (1998), Amy (2015)


July 08, 2022

 


There was a cellist named   Jacqeline du Pré . This remarkable cellist stood out from an early age. At the age of 17, her performance of Elgar's Cello Concerto with the BBC Symphony Orchestra became a legend. At least for this concerto, it is difficult to pick an album that surpasses Jacqueline's performance. In his late twenties, she had an incurable disease called multiple sclerosis. After her retirement in his early thirties, Jacqueline could never play the cello again. She collapsed mentally as well as physically ill. And until she died at the age of 42, there were few people with whom she could share her loneliness and pain.


  She had a husband . She married the famous pianist and conductor Daniel Barenboim when she was 21 years old . Her husband, Barenboim worked with Jacqueline to build his career through her tight concert schedule. Some of Jacqueline's fans blame Barenboim's mistreatment of Jacqueline as the cause of her outbreak. Anyway, this fame-hungry man throws it away fidelity when Jacqueline is unable to play the cello due to illness. He asked for a divorce but Jacqueline did not. He lived with a Russian pianist, who gave birth to two sons. Gradually, Barenboim's fame in the classical music world grew. Although he received some criticism after Jacqueline's death, his reputation was not damaged.


  The movie 'Hillary and Jackie (1998)' captures the life of Jacqueline. When the film came out, Barenboim responded with an annoyed reaction that the world couldn't wait for him to di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is film also contains the truth completely. Movie was based on the memoirs of her older sister Hillary and her husband. Her sister said that Jacqueline seduced her husband, but the truth is that Jacqueline was in a mentally unstable state. The testimony came later. Jacqueline was a female artist who lived a thoroughly lonely and unhappy life.


  Such a tragedy is reproduced in another way in the documentary 'Amy (2015)', a documentary about the short life of British singer Amy Winehouse. Amy, a talented singer-songwriter, begins to ruin her life when she meets a man named Blake. Blake, the epitome of 'bad man', guides Amy into the world of alcohol and drugs. Amy, thirsty for her love, is mentally enslaved to a man who was like a beast, and she loses her perfect judgment and walks the path of her addict. Watching Blake in the documentary interview , that made me sick. Even after Amy's death, Blake revealed Amy's private life and used it to make money.


Every time I hear Amy Winehouse's 'Rehab', I lament that she should have gone to rehab. It was Amy's father who made it impossible. Her father was also of the same kind as Blake. This documentary is the story of a female singer who suffered from 'predators'. Eventually she ended her life at an early age.


  There is a movie called Kramer v Kramer that came out in 1979. The film, starring Meryl Streep and Dustin Hoffman, was summoned to the 'Me Too' movement in a different sense. Harvey Weinstein's sexual offenses, which started with the revelations and lawsuits of Ashley Judd, have been criticized in some parts of Hollywood because of the silence and aiding of influential figures who are close to Weinstein. There was also mention of Meryl Streep, who was close to Weinstein and as an actress with a great influence in the film industry. Some people attacked that she could be aware of the situation. Meryl Streep strongly denied that. In the process, she defends herself. She opened to the public the anecdote that she was slapped in the face by Dustin Hoffman while filming the movie.


  That scene was clearly not in the script. The film deals with a man's child-rearing and court battles. He was confused and distressed by his wife's sudden divorce request. Meryl Streep took on the role of his wife. She said that Dustn Hoffman suddenly slapped in the face while the scene she was leaving the house. Both the director and the film crew were surprised. The director worried that Meryl Streep would sue Hoffman or to stop filming. However, this actress was so professional that she managed to get the film right through to the end. Although she later received an apology from Dustin Hoffman, she told that the incident was something she would never forget.


  Here's an excuse for Dustin Hoffman slapped Meryl Streep's face: He said that was to bring out her realistic acting for the role Also he felt bad for real wife, who was sued for divorce. Meryl Streep experienced Hoffman's violence in the movie's restaurant scene. She felt fear that he threw a glass at the dining room wall. That was not in the script. I wondered for a long time why Meryl Streep was so hostile to her husband, played by Dustin Hoffman. The question was solved only after several decades. Dustin Hoffman's 'terrible' behavior helped her to show tremendous hostility in her films. But she could have done well without it, Streep recalled.


  Meryl Streep wasn't a newcomer when filming the movie. She had a career of her own in the Broadway theatre. Although her acting skills were proven as a rookie actress, it was not to the point of being slapped in the face. Even so, Hoffman casually bloe up to the actress. Perhaps, he wanted to dominate the film and Streep. The throwing of a glass of water in the restaurant scene can also be seen as an extension of that.


  Meryl Streep didn't reveal the story until 2017. She herself also spoke on her #MeToo that she suffered injustice and hardship during her film career in Hollywood.  It may have intentionally leaked the anecdote to defend. Anyway, Meryl Streep's intention was that,


  "Hey, girls! Did you know how I survived this movie wirld? When I was a rookie, I was even slapped in the face for no reason. I've seen all the arrogance and dirty things. That was total shit."


  Survivor. Meryl Streep faced such hardships, and she eventually survived. she also defended her own acting career. In my opinion, Meryl Streep should not to be criticized for without helping other actresses. To make such an accusation, it must also be given fairly to Weinstein's best friend Tarantino. He knew Weinstein for a long time, and he continued his film work with Weinstein. Even when her former lover, Mira Sorvino, informed him Weinstein molested her. Tarantino ignored it. Everyone was just 'the king's men'.


  Hearing these countless stories, it makes you think that the world that creates art that moves us is like a jungle. There are fierce predators in them, and there are life that barely survive under them. Someone disappears silently. Of course, there are those who threaten predators with their excellent talent. They do not forget the moments of fear and threat they experienced. And now they freely explore the jungle and coexist with predators. Perhaps a work of art is the result of various struggles.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survival. Those who survive can write, sing, or act. This is the moment when the survivor becomes the winner.


 


*From top to bottom, 'Kramer vs. Kramer', 'Hillary and Jackie', 'Amy'


 Poster Source: IMDb.com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적룡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영화, 천애명월도(天涯明月刀, The Magic Blade, 1976)

    영화의 제목이 독특하다. '천애명월도'라는 명검을 두고 벌이는 검객들의 혈투인가, 막연한 생각으로 영화를 봤다. 그런 검은 영화 속에 나오지 않는다. 대신에 이 영화를 지배하는 비장의 무기는 공작령(孔雀翎, 공작의 깃모양 무기로 막강한 화력을 지님)이다. '천애명월도(天涯明月刀, 1976)'는 '유성호접검( 流星蝴蝶劍, 1976)'을 만든 초원 감독의 작품이다.     검객 부홍설(적룡 분)은 강호의 일인자가 되겠다는 일념으로 고향을 떠나 방랑 중이다. 그는 자신과 적대 관계에 있는 연남비로부터 흑도파의 우두머리 공자우가 공작령을 차지해서 강호제패를 노린다는 말을 듣는다. 공작령을 찾아내기 위한 여정에 함께 하게 된 연남비와 부홍설, 부홍설은 공작령의 주인이자 공작산장의 우두머리 추수청에게 공작령을 얻어내는 데 성공한다. 그 과정에서 추수청이 공자우의 밀정에 의해 죽게 되고, 추수청은 딸 옥정을 부홍설에게 부탁한다. 공자우는 자신의 부하 검객들을 보내 부홍설을 죽이고 공작령을 빼앗으려 한다. 그 와중에 연남비의 생사도 알 수 없게 되고, 추옥정은 납치된다. 부홍설은 공작령을 지키고, 옥정을 구해낼 수 있을까...   이 영화의 원작은 무협 소설 작가 고룡의 동명 소설이다. 그런데 이 소설은 전작이 있다. 말하자면 시리즈물이라고 할 수 있는데, '변성랑자(邊城浪子)'가 그것으로 '부홍설'이라는 인물의 인생을 담고 있다. 그러나 영화 '천애명월도'는 부홍설에 대한 그 어떤 정보도 주지 않고 바로 연남비와의 대결에서부터 시작한다. 초원 감독은 캐릭터에 대한 묘사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 것 같다. 영화는 쉴 새 없이 이어지는 대결로 꽉 채워져 있기 때문이다. 공자우의 본거지에 부홍설이 들어가기까지 너무나 많은 자객들이 나오고, 대결이 이어진다. 말하자면 볼거리 위주의, 철저히 흥행을 노린 감독의 의도라고 할 수 있다. 지금의 관객들 시각에서

전후 일본 영화(Post-war Japan Movie, 1946-1955) 3편: 전후 일본 사회가 마주한 고통과 혼란, 미스터 푸(プーサン, Mr. Pu, 1953)

    노로는 고등학교 선생이다. 그는 과속을 하는 트럭을 피하려다 손을 다친다. 그가 받는 빠듯한 봉급으로 단칸 월세방 돈 내는 것도 힘든데 병원비까지 나가게 생겼다. 그는 학교에서 그의 봉급을 올려주길 기대한다. 하지만 깡패같은 고등학교 이사장은 노로에게 야간 고등학교 강의까지 더하라고 강권한다. 천성이 유약한 노로는 '아니오'라는 말을 차마 하지 못한다. 뭔가 억울하다는 생각이 든 노로. 그는 자신의 제자가 권유한 반정부 시위에 나가보기로 한다. 시위대는 경찰의 강경대응으로 무참히 진압되었다. 노로는 경찰서에 끌려갔다가 겨우 풀려난다. 하지만 이 일을 빌미로 이사장은 노로를 해고한다. 전후의 어려운 시절, 노로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이치카와 곤(市川崑, Kon Ichikawa) 감독의 영화 '미스터 푸(プーサン, Mr. Pu, 1953)'는 고등학교 선생 노로와 그의 주변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전후 일본 사회를 보여준다. 이 영화는 원작이 되는 만화가 있다. 만화가 요코야마 타이조(横山泰三)는 1950년부터 1953년  마이니치 신문(毎日新聞)에 4컷 만화 '미스터 푸(プーサン)'를 연재했다. 4컷 만화에 담긴 날카로운 사회비판적 메시지 때문에 만화는 연재 중단의 압력을 받았다. 이치카와 곤은 그 만화에서 영화의 주요한 소재를 차용했다. 영화  '미스터 푸(プーサン)'는 명확한 서사 대신에 다양한 등장 인물들이 처한 상황을 유기적으로 연결한다. 영화의 그러한 구성은 전후 일본 사회의 여러 면면들을 부각시킨다.    노로는 다친 손의 치료를 위해 병원에 간다. 그런데 의사는 노로의 몸을 진찰하더니 '영양실조'라면서 잘 먹어야 한다고 처방을 내린다. 젊은 의사는 환자들 대부분이 제대로 먹지 못해 건강이 좋지 않다고 말한다. 노로가 의사에게 손을 치료받고 싶다고 하자, 의사는 병원의 X-ray 기계가 고장나서 사진을 찍을 수 없다고 말한다. 이 장면은 전후

아, 홍상수: 물안에서(In Water, 2023)

    오래전, 영화를 공부할 때의 일이다. 강의를 듣고 있는데, 어디선가 신경을 긁는듯한 소음이 계속 들려왔다. 나는 조용히 강의실 뒷문으로 나와서, 소리가 나는 곳을 찾아 나섰다. 영상원 본관 3층의 복도를 천천히 걸어가면서, 마침내 그 소리의 근원을 찾아냈다. 열린 교수 연구실 안쪽에, 희끗희끗한 머리의 한 남자가 이상한 악기를 천천히 두드리고 있었다. 홍상수였다. 그는 매우 지루한 표정을 짓고 있었다. 악기를 두들기던 그가 갑작스러운 나의 등장에 약간 당황했는지, 잠시 연주를 멈추었다. 나는 짜증스러운 표정을 지으며 발걸음을 돌렸다. 동남아시아인지, 아프리카인지 원산지를 알 수 없는 악기 소리는 내가 다시 강의실에 도착할 무렵에는 들리지 않았다.   나는 그해 가을, 홍상수가 영상원 교수직을 그만두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사실 홍상수의 강의는 영화과 학생들에게 악명이 자자했다. 거의 강의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홍상수가 영상원을 떠날 무렵에는, 자신의 영화를 찍어야 한다는 당위성과 교수직 사이에서의 줄타기가 형편없이 어그러졌다. 나는 홍상수의 그 지치고 지루했던 표정을 아직도 기억한다. 그는 결국 떠날만한 때에 떠났다. 그건 학생들에게도, 그에게도 좋은 결정이었다.     어제, 홍상수의 2023년 작 영화 '물안에서'를 보았다. 러닝타임 61분의 이 영화는 대부분의 화면이 초점이 나간 상태(ouf of focus)로 흐릿하게 나온다. 처음에는 또렷했던 화면이 인물을 제대로 알아보기 어려운 상태로 나오니, 관객은 당황할 수밖에 없다. 그래도 영화 속 인물들의 이야기를 따라가는 데에는 별 어려움이 없다. 등장인물은 세 명. 배우로 활동하던 승모는 자신의 단편 영화를 찍겠다며 섬에 왔다. 승모와 동행한 사람은 촬영을 맡은 친구 상국, 연기를 할 여배우 남희이다. 승모는 아르바이트로 어렵게 모은 돈 300만 원을 들고 왔다. 그런데 정작 그는 시나리오조차 쓰지 않았다. 상국과 남희는 승모가 찍을 영화가 어떤 것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