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전쟁의 상처를 감내하는 어머니의 초상, 엄마(おかあさん, Mother, 1952)


  박복(薄福)하다. 복이 없거나 팔자가 사나움을 일컫는 말이다. 나루세 미키오의 영화 '엄마(Mother, 1952)'를 보고 있노라면, 주인공인 엄마의 삶에 저절로 그 말이 떠오른다. 패전 직후의 일본, 세 아이의 엄마 마사코는 장남을 병으로 잃는다. 얼마 지나지 않아 남편도 세상을 뜬다. 이 엄마는 이제 18살이 된 큰딸 토시코와 어린 딸 히사코, 그리고 여동생의 아들 테츠를 보살펴야 한다. 모두가 어렵고 가난한 시절, 가족은 집 한 켠을 개조해서 세탁소를 꾸려가고 있다. 하지만 일을 도와주는 남편의 친구 키무라도 언제까지 있을 형편이 아니다. 엄마는 입이라도 덜기 위해 작은딸을 큰숙부 내외에게 보내려는 참이다.


  분명 전쟁은 끝났다. 그럼에도 이 영화 곳곳에는 전쟁의 그림자가 어른거린다. 전쟁 이전에 남편 로사쿠가 운영하던 세탁소는 아주 잘되었고, 그것으로 가족은 안온한 삶을 유지할 수 있었다. 일본이 군국주의로 치닫는 동안 가족의 삶은 밑바닥으로 떨어졌다. 돈을 벌기 위해 공장에 취직했던 아들은 열악한 노동 여건 속에서 병을 얻는다. 남편은 어떻게든 세탁소를 다시 열어보려고 애쓰다가 과로로 쓰러진다. 엄마의 여동생 노리코는 만주에서 남편을 잃었다. 세탁소 일을 돕는 키무라는 전쟁 포로로 러시아 하바로프스크 수용소에 끌려갔다가 어렵게 생환했다.

  남편의 장례식에 모인 마을 여자들은 전쟁통에 남편과 아들을 잃은 이야기를 한다. 마사코가 작은딸을 맡기려는 큰숙부 내외는 징병으로 끌려나간 아들의 생사를 알지 못한다. 큰숙모는 아들의 사진을 놓고 거미를 실에 묶어 길게 내려뜨려 본다. 거미가 움직이자 아들이 살아있는 것이라며 내심 희망을 가져본다. 군부와 지배 계급의 침략적 제국주의에 일본 국민의 삶은 그렇게 산산조각이 났다. 영화 '엄마'의 주인공 마사코는 그 전쟁의 여파를 자신의 삶에서 견뎌내는 중이다. 마사코는 아픈 남편을 병원에 데려가고 싶지만, 그러려면 집안 살림을 다 팔아야할 지경이다. 그걸 아는 남편은 한사코 병원에 가기를 거부한다. 남편과 아들의 죽음, 그리고 작은 딸과의 이별. 그 모든 것은 전쟁이 가져다준 가난과 이어져 있다.

  나루세 미키오는 어려운 처지에 놓인 이 가족의 삶을 마냥 신산스럽게 그려내지 않는다. 영화 '엄마'에는 따뜻한 온기가 느껴진다. 큰딸 토키코는 마을 빵집 청년 에이지와 풋풋한 사랑을 시작한다. 세탁소를 찾는 진상 손님들과의 일화, 토키코가 마을 축제의 노래 경연에 참여하는 장면, 가족이 놀이공원에서 즐겁게 시간을 보내는 장면들은 전후 일본 민중의 삶을 엿볼 수 있게 만든다. 무엇보다 그 온기의 중심축에는 엄마 역을 연기한 타나카 키누요(田中絹代)가 있다. 생의 대부분을 독신으로 지냈던 이 배우는 자신의 삶에서 '엄마'였던 적이 없다. 그럼에도 타나카 키누요가 보여주는 연기는 놀라움을 자아낸다. 슬픔과 고통을 온전히 감내하며, 가족을 지켜내기 위해 애를 쓰는 모성은 보는 이의 마음을 적신다.

  영화 '엄마'에는 큰딸 토키코의 내레이션이 들어간다. 하지만 이 영화의 시점은 전지적인 관찰자의 것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이 가족 구성원들은 각자의 비밀을 가지고 있으며, 오직 관객만이 그것을 알 수 있다. 마사코는 가족이 평화롭게 지냈던 시절의 추억을 병석에 누운 남편과 공유한다. 토키코는 엄마의 재혼 소문에 대한 근심을 에이지에게 토로한다. 큰숙부네로 온 히사코는 자신이 그린 엄마의 초상화를 벽에다 차마 붙이지 못하고 책상 서랍에 조용히 넣는다. 아이는 그렇게 엄마에 대한 그리움을 감춘다.

  영화의 마지막, 키무라상이 떠나고 세탁소일을 돕기 위해 16살 소년이 집에 들어온다. 늦은 저녁, 소년은 고향의 어머니에게 편지를 쓰려다 잠이 들었다. 마사코는 '어머님(おかあさん)께'라는 글씨를 보며 소년에게 안쓰러운 눈빛을 보낸다. 이 엄마는 여동생이 곧 데려갈 장난꾸러기 조카의 장난을 기꺼이 받아준다. 주변의 모든 것을 보살피며 어려움을 감내하는 어머니의 삶. 토키코는 그런 엄마를 보면서 마음속으로 묻는다. '엄마는 정말로 행복한가요?' 나루세 미키오는 어둠이 내려앉은 집 앞의 풍경과 함께 영화를 닫는다. 영화 '엄마'는 전쟁이 남긴 상처를 극복하는 한 여자, 아내, 어머니의 가슴 저린 초상을 그려낸다. 




*사진 출처: themoviedb.org    큰딸 토키코 역을 연기한 카가와 쿄코(香川京子)는 전후 일본 영화계를 풍미한 여배우였다. 이 영화에서 카가와 쿄코의 데뷔 초기 앳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나루세 미키오 감독의 '흐르다(流れる, Flowing, 1956) 리뷰. 타나카 키누요는 이 영화에서도 좋은 연기를 보여준다.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1/07/flowing-1956.html

 


Portrait of a Mother Enduring the Scars of War, Mother (1952)


July 07, 2022



 What an unfortunate woman! When I was watching Naruse Mikio's movie 'Mother (1952)' , the words come to mind naturally in the life of the main character, mother. In Japan just after the defeat, Masako, a mother of three children, loses her eldest son to an illness. Soon, her husband also passed away. The mother has to look after her eldest daughter, Toshiko, her young daughter Hisako, and her sister's son, Tetsu. In times of hardship and poverty, the family is remodeling a corner of the house and running a laundry. However, her husband's friend Kimura, who helps her with work, is not in a position to stay forever. Mother is about to send her little daughter to the uncle for  the family household.


  Obviously the war is over. Nevertheless, the shadows of war linger throughout the film. Before the war, the laundry run by her husband, Rosaku, did very well, and it kept the family peaceful. As Japan moved toward militarism, the family's life fell to the bottom. The son, who worked in a factory to earn money, gets sick under poor working conditions. His husband collapses from overwork as he tries to somehow reopen the laundry. Mother's sister Noriko lost her husband in Manchuria. Kimura, who works at a laundry, was taken to the concentration camp in Russia as a prisoner of war and was brought back to life.


  Village women gathered at her husband's funeral tell the story of the loss of their husband and son during the war. The uncle, who Masako intends to adopt her younger daughter, is unaware of the life or death of her son. His wife puts a picture of her son and tying a spider hangs it down long. As the spider moves, she sees hope that her son is alive. The lives of the Japanese people were shattered by the war ambition of the military and the ruling class. Masako, protagonist in the movie 'Mom', is enduring the aftermath of the war in her own life. She wants to take her husband to the hospital. But she has to sell all her household items to do so. Knowing this, her husband refuses to go to hospital. The death of her husband and son, parting with her little daughter. All of this is linked to the poverty by war.


  Naruse Mikio does not portray the life of this family in a gloomy way. You can feel the warmth of the movie 'Mom'. Her eldest daughter, Tokiko, begins a fresh love with Eiji, a young man of the bakery. Anecdotes with customers visiting the laundry, scenes of Tokiko participating in a song contest at a village festival, and scenes of families having fun at an amusement park provide a glimpse into the life of Japanese people after the war. Above all, at the center of the warmth is Kinuyo Tanaka , who played the main character. The actress had never been a 'mother' in her own life. Nevertheless, Tanaka Kinuyo's acting is surprising. Mother, who fully endures her sorrows and pains, and tries her best to protect her family. This made the hearts of the viewers move.


  The narration of her eldest daughter Tokiko is included in the movie 'Mom'. However, that the point of view of this film is that of an omniscient observer. Each of these family members has their own secret, which only the audience knows. Masako shares her memories of a peaceful time with her husband. Tokiko talked to her her lover about worries that her mother's rumors of remarriage. After adopting, Hisako quietly puts her mother's portrait in the drawer of her desk. This child hides her longing for her mother.


  At the end of the movie, Kimura leaves and a 16-year-old boy enters the house to help with the laundry. Late in the evening, the boy fell asleep trying to write a letter to his mother. Masako looked sadly at the boy. This mom accepts her naughty nephew's prank. The life of mother, who endures hardships by taking care of everything around her. Tokiko looks at her mother and asks in her heart. She said, 'Are you really happy?' Naruse Mikio closes the film with the scenery in front of the house that has fallen into darkness. The movie 'Mother' depicts a heartbreaking portrait of a woman, wife, and mother overcoming the scars left by the war. 



*Picture source: themoviedb.org Kagawa Kyoko, who played the role of the eldest daughter Tokiko, was an actress who dominated the Japanese film industry after the war. In this film, you can see Kyoko Kagawa's youthful appearance at the beginning of her debut.  



**Review of Naruse Mikio's "Flowing" (1956). Kinuyo Tanaka also gave a good performance in this movie.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1/07/flowing-1956.html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적룡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영화, 천애명월도(天涯明月刀, The Magic Blade, 1976)

    영화의 제목이 독특하다. '천애명월도'라는 명검을 두고 벌이는 검객들의 혈투인가, 막연한 생각으로 영화를 봤다. 그런 검은 영화 속에 나오지 않는다. 대신에 이 영화를 지배하는 비장의 무기는 공작령(孔雀翎, 공작의 깃모양 무기로 막강한 화력을 지님)이다. '천애명월도(天涯明月刀, 1976)'는 '유성호접검( 流星蝴蝶劍, 1976)'을 만든 초원 감독의 작품이다.     검객 부홍설(적룡 분)은 강호의 일인자가 되겠다는 일념으로 고향을 떠나 방랑 중이다. 그는 자신과 적대 관계에 있는 연남비로부터 흑도파의 우두머리 공자우가 공작령을 차지해서 강호제패를 노린다는 말을 듣는다. 공작령을 찾아내기 위한 여정에 함께 하게 된 연남비와 부홍설, 부홍설은 공작령의 주인이자 공작산장의 우두머리 추수청에게 공작령을 얻어내는 데 성공한다. 그 과정에서 추수청이 공자우의 밀정에 의해 죽게 되고, 추수청은 딸 옥정을 부홍설에게 부탁한다. 공자우는 자신의 부하 검객들을 보내 부홍설을 죽이고 공작령을 빼앗으려 한다. 그 와중에 연남비의 생사도 알 수 없게 되고, 추옥정은 납치된다. 부홍설은 공작령을 지키고, 옥정을 구해낼 수 있을까...   이 영화의 원작은 무협 소설 작가 고룡의 동명 소설이다. 그런데 이 소설은 전작이 있다. 말하자면 시리즈물이라고 할 수 있는데, '변성랑자(邊城浪子)'가 그것으로 '부홍설'이라는 인물의 인생을 담고 있다. 그러나 영화 '천애명월도'는 부홍설에 대한 그 어떤 정보도 주지 않고 바로 연남비와의 대결에서부터 시작한다. 초원 감독은 캐릭터에 대한 묘사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 것 같다. 영화는 쉴 새 없이 이어지는 대결로 꽉 채워져 있기 때문이다. 공자우의 본거지에 부홍설이 들어가기까지 너무나 많은 자객들이 나오고, 대결이 이어진다. 말하자면 볼거리 위주의, 철저히 흥행을 노린 감독의 의도라고 할 수 있다. 지금의 관객들 시각에서

전후 일본 영화(Post-war Japan Movie, 1946-1955) 3편: 전후 일본 사회가 마주한 고통과 혼란, 미스터 푸(プーサン, Mr. Pu, 1953)

    노로는 고등학교 선생이다. 그는 과속을 하는 트럭을 피하려다 손을 다친다. 그가 받는 빠듯한 봉급으로 단칸 월세방 돈 내는 것도 힘든데 병원비까지 나가게 생겼다. 그는 학교에서 그의 봉급을 올려주길 기대한다. 하지만 깡패같은 고등학교 이사장은 노로에게 야간 고등학교 강의까지 더하라고 강권한다. 천성이 유약한 노로는 '아니오'라는 말을 차마 하지 못한다. 뭔가 억울하다는 생각이 든 노로. 그는 자신의 제자가 권유한 반정부 시위에 나가보기로 한다. 시위대는 경찰의 강경대응으로 무참히 진압되었다. 노로는 경찰서에 끌려갔다가 겨우 풀려난다. 하지만 이 일을 빌미로 이사장은 노로를 해고한다. 전후의 어려운 시절, 노로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이치카와 곤(市川崑, Kon Ichikawa) 감독의 영화 '미스터 푸(プーサン, Mr. Pu, 1953)'는 고등학교 선생 노로와 그의 주변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전후 일본 사회를 보여준다. 이 영화는 원작이 되는 만화가 있다. 만화가 요코야마 타이조(横山泰三)는 1950년부터 1953년  마이니치 신문(毎日新聞)에 4컷 만화 '미스터 푸(プーサン)'를 연재했다. 4컷 만화에 담긴 날카로운 사회비판적 메시지 때문에 만화는 연재 중단의 압력을 받았다. 이치카와 곤은 그 만화에서 영화의 주요한 소재를 차용했다. 영화  '미스터 푸(プーサン)'는 명확한 서사 대신에 다양한 등장 인물들이 처한 상황을 유기적으로 연결한다. 영화의 그러한 구성은 전후 일본 사회의 여러 면면들을 부각시킨다.    노로는 다친 손의 치료를 위해 병원에 간다. 그런데 의사는 노로의 몸을 진찰하더니 '영양실조'라면서 잘 먹어야 한다고 처방을 내린다. 젊은 의사는 환자들 대부분이 제대로 먹지 못해 건강이 좋지 않다고 말한다. 노로가 의사에게 손을 치료받고 싶다고 하자, 의사는 병원의 X-ray 기계가 고장나서 사진을 찍을 수 없다고 말한다. 이 장면은 전후

Shirley Clarke의 실패한 타자성 탐구, Portrait of Jason(1967)

  1. 이상한 나라의 Jason Holliday   한 남자가 자신을 소개한다. 자신의 이름이 Jason Holliday라고 말한 그는 본명이 Aaron Payne이라고 말하는 것을 잊지 않는다. 마일스 데이비스(Miles Davis, 유명한 재즈 연주자)와도 안다고 말하는 그는 자신이 가진 직업을 줄줄이 늘어놓는다. 그가 말한 직업들 중에는 남창(whore)도 있다. 손에 술잔을 든 그는 심부름꾼(houseboy)으로 시작한 자신의 인생 역정을 늘어놓는다. 미국의 독립 영화 제작자 Shirley Clarke는 1966년 12월 3일, 자신이 머물던 첼시 호텔(Hotel Chelsea) 펜트 하우스에서 제이슨 할러데이의 인생 이야기를 주제로 다큐를 찍었다. 저녁 9시에 시작된 촬영은 12시간 동안 이어졌다. 그 결과로 나온 것이 'Portrait of Jason(1967)'이다.   제이슨은 술에 취해 기분이 아주 좋아보인다. 화면 밖에서 목소리로만 들리는 셜리 클라크는 제이슨에게 질문을 던지며 그가 계속해서 이야기를 하도록 유도한다. 마치 인형극의 조종하는 사람(puppeteer)처럼 클라크는 제이슨을 자신의 뜻대로 움직이려는 것 같다. 흑인이며 동성애자이기도 한 제이슨에게 미리 준비해놓은 소품으로 작은 공연을 하도록 만들기도 한다. 소품 가방에서 꺼낸 모피 목도리를 두르고는 제이슨은 여성스럽고도 우스꽝스러운 제스처를 취하며 킬킬거린다. 제이슨이 원하는대로 술과 담배가 계속해서 제공된다. 시간이 갈수록 술에 취한 제이슨의 말소리는 알아듣기 어렵게 뭉그러진다.   러닝 타임 1시간 45분의 이 다큐 'Portrait of Jason(1967)'은 보면 볼수록 기이하다. 관객은 'Jason Holliday'라는 인물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듣도록 초대받지만, 다큐가 끝나고 나면 그가 어떤 사람인지 도무지 알 수 없게 되어버린다. 가장 큰 이유는 제이슨이 가진 뛰어난 공연자(performer)로서